강성석(목사, 전쟁없는세상 비폭력프로그램팀)
1. 미국의 경우
오로라 : AR-15
올랜도 : AR-15
파크랜드 : AR-15
라스베가스 : AR-15
샌디 훅 : AR-15
텍사스 교회 : AR-15
샌 버다디노 : AR-15
와플 하우스 : AR-15
산타페 고등학교 : AR-15
2018년 2월 14일 플로리다 마조리 스톤맨 더글라스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총기난사로 인해 17명이 죽고 수십명이 중상을 입었다. 참사 3일 뒤부터 살아남은 플로리다 학생들은 총기 규제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여러 총기난사에서 사용된 AR-15은 한국 군대에서도 쓰이는 M-16 돌격소총이다.
(중략)무기를 소유하고 휴대할 수 있는 국민의 권리가 침해를 받아서는 안된다
미국은 수십건의 총기 난사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굳건한 수정헌법 2조와 전미총기협회(NRA)의 로비로 인해 너무나도 쉽게 총을 구할 수가 있다.

플로리다 생존자들의 총기규제 집회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Childish Gambino 의 This Is America 뮤직비디오에는 춤을 추는 도널드 글로버(Childish Gambono의 본명)가 권총으로 기타리스트를 죽이고 흑인 성가대를 AR-15로 쏴죽인다. 살인에 쓰인 총이 붉은 천에 감싸져 소중히 보관되는 장면은 미국의 상황을 말해준다.
2. 일본의 경우

<새로운 헌법의 이야기> 1947년 8월 2일에 발행된 일본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
일본은 47년부터 새로운 헌법이 시행되었다.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일본 헌법의 9조가 바로 평화헌법이다.
2장 전쟁의 방기
제9조 일본국민은 정의와 질서를 기초로 하는 국제평화를 성실히 희구하며, 국권의 발동인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의 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는 영구히 방기한다.
당시 교과서에 마치 성경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그들의 창을 쳐서 낫을 만들 것이며(이사야 2:4)
구절을 옮긴듯한 삽화가 그려져 있다.
평화헌법으로 인해 일본은 군대가 아닌 자위대가 있다. 일본에서 총을 분해하고 조립할 줄 아는 이는 밀리터리 매니아 이거나 전현직 자위대원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일본은 재무장을 다시 시작, 지금도 일본의 무기산업 규모는 늘어나고 있으며 군사비 지출은 세계 8위인 상황이다.
3. 한국의 경우
한국은 징병으로 인해 매년 30만 명이 돌격소총의 사용법을 익힌다. 돌격소총은 AR-15과 같은 소형무기를 말한다. 한국에서 미국처럼 쉽게 총을 구할 수 있었다면 자살률 1위가 아니라 총으로 인한 사망률 1위가 되었을 것이다.
미국에서 총을 쉽게 구입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지만, 한국 사람 절반에 가까운 이들이 총을 다룰 줄 아는 것도 이상하다. 미국에는 총기 규제가, 한국에는 유엔이 권고한대로 병역거부권을 보장하고 군사훈련이 없는 총을 아예 모르는 삶이 필요하다. 중국, 일본, 아시아, 아니 세계의 절반이 총을 든다고 생각해보라.
올 해 6월 개헌은 무산되었지만 30년 만에 개헌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평화헌법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새로운 헌법에는 지금의 평화주의를 넘어서는 평화권이 들어가야 한다.
제5조 ①대한민국은 국제평화의 유지에 노력하고 침략적 전쟁을 부인한다.
침략전쟁의 부인을 넘어서 병역거부권, 총을 들지 않을 권리를 명시하고 군비를 줄이는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호모 데우스’에서 유발 하라리는 정글의 법칙이 깨졌고 기아, 역병, 전쟁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제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된다고 말한다.
일본은 이미 70여년전에 헌법에 영구적인 전쟁포기를 명시했다. 아베 정권에 의한 개헌, 재해석 시도가 있었지만 말이다. 종전을 넘어 비전(非戰), 전쟁포기의 논의가 시작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