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below)

 

지난 8월 25일,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시작된 대규모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회의원들의 과도한 주택 수당 지급이 밝혀진 데서 비롯된 시위는 28일, 오토바이 택시 기사 아판 쿠르니아완이 경찰 장갑차에 치여 숨지는 참사로 이어졌다. 목격자들은 경찰 장갑차가 시위대를 향해 돌진했고, 피해자를 그대로 깔아뭉갰다고 증언했다. 경찰은 시위 진압 과정에서 물대포와 최루탄을 사용했으며, 이에 시위대의 반발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이번 참사에 사용된 장갑차가 한화 바라쿠다 장갑차라는 의견이 참사 초기에 SNS와 현지 언론을 통해 확산되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구 대우종합기계)는 2004년과 2022년 두 차례에 걸쳐 총 45대의 바라쿠다 장갑차를 인도네시아에 수출했다. 이 장갑차는 단순 수송 장비가 아니라 중기관총과 돌격소총을 탑재할 수 있는 사실상 ‘이동식 무기고’로 알려져 있다. 바라쿠다 ‘폭동 진압’ 차량은 웨스트파푸아를 비롯한 각종 시위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억압의 상징이 되어 왔다.

인도네시아 경찰이 사용하는 물대포 역시 한국의 대지정공 제품이다. 그러나 물대포는 현재 총포·도검·화약류, 전략물자, 방산물자 등 어떤 무기 수출통제 범주에도 포함되지 않아 정부 허가 없이 수출되고 있다. 대지정공은 베트남, 방글라데시, 미얀마, 알제리 등 인권 상황이 심각한 국가를 포함해 20여 개국에 약 2,700대의 물대포를 판매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에는 2007년 계약을 시작으로 수차례에 걸쳐 물대포를 납품했다. 이 회사는 자사 물대포가 “여러 나라에 수출한 이력으로 실제 시위현장에서 대지정공의 기술력을 검증 받았다고 자부”한다고 홍보하고 있다.

전쟁없는세상이 2024년 발간한 「한국산 경찰무기 수출 및 남용 실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 6월까지 한국은 인도네시아에 144만 발 이상의 최루탄을 수출했다. 휴먼스화공, 한국씨앤오테크, 대광화공 등 업체에서 생산한 최루탄이다. 이번 시위 현장에서도 한국산 최루탄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산 시위진압 무기가 민주화 운동을 억압하는 데 사용되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인도네시아에 시위진압 무기를 계속 수출하는 것은 무기 수출국으로서 마땅한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다. 멀리는 군사독재에 저항했고 가깝게는 불법 계엄을 막아낸 민주주의를 자랑하는 한국이 시민에게 폭력을 일삼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일에 동참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다음을 강력히 요구한다.

  1. 한국 정부는 인도네시아로 최루탄, 물대포, 장갑차 등 시위진압 무기의 추가 수출을 즉각 중단하라.
  2. 한국산 시위진압 무기의 국가별 사용 실태 및 피해 사례를 전수 조사하고, 기업에 대해 사후사용 모니터링 자료 제출을 의무화하라.
  3. 한국산 시위진압 무기가 해외에서 민주화 운동 탄압에 사용되지 않도록 고위험국 수출 금지, 인권영향평가 의무화, 위반 시 제재와 허가 취소를 포함해 수출통제체제를 전면 개선하라.
  4. 특히 수갑, 물대포 등 현재 경찰청 허가 없이도 해외 수출이 가능한 시위진압 무기 및 장비를 엄격히 규제하라.

 

2025. 9. 2. 전쟁없는세상


[Statement]
South Korean Weapon Killed an Indonesian Youth:
Stop the Export of Crowd-Control Weapons That Crush Democracy

On August 25, large-scale protests began in Jakarta, Indonesia’s capital, and and are continuing to spread nationwide. Sparked by revelations of excessive housing allowances granted to members of parliament, the protests escalated on August 28 when motorcycle taxi driver Affan Kurniawan was killed after being run over by a police armored vehicle. Witnesses testified that the vehicle deliberately charged into the crowd and crushed the victim. During the crackdown, police also deployed water cannons and tear gas, further inflaming public anger.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tragedy, claims spread rapidly through social media and local media outlets that the armored vehicle involved was a Hanwha “Barracuda.” Hanwha Aerospace (formerly Daewoo Heavy Industries & Machinery) exported a total of 45 Barracuda armored vehicles to Indonesia in two separate deals in 2004 and 2022. Far from being a simple transport vehicle, the Barracuda is effectively known as a “mobile arsenal,” capable of mounting heavy machine guns and assault rifles. Labeled a “riot-control” vehicle, it has become a familiar symbol of repression, frequently deployed at protest site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West Papua.

The water cannons used by Indonesian police are also South Korean products, manufactured by Daeji P&I. Yet water cannons fall outside all current arms export control categories—including firearms, bladed weapons, and explosives, strategic materials, and defense materials—meaning they can be exported without government approval. Daeji P&I has sold about 2,700 water cannons to more than 20 countries, including Vietnam, Bangladesh, Myanmar, and Algeria—states with alarming human rights records. Since its first contract in 2007, Indonesia has repeatedly purchased these weapons. The company even boasts in its marketing that “our water cannons have been exported to numerous countries and proven in actual protest sites, attesting to Daeji’s technological expertise.”

According to The Realities of South Korean Police Weapon Exports and Their Misuse (World Without War, 2024), South Korea exported more than 1.44 million tear gas canisters to Indonesia between 2015 and June 2024. These were manufactured by companies including Humans Pyro, Korea CNO Tech, and Daekwang Chemical. It is highly likely that South Korean tear gas was also used in the recent protests.

The continued export of South Korean crowd-control weapons to Indonesia—while they are being used to suppress pro-democracy movements—constitutes a gross abdication of responsibility on the par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outh Korea, which once resisted military dictatorship and more recently thwarted an illegal martial law attempt, should not become complicit in violence against civilians and the destruction of democracy abroad. We therefore strongly demand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1. Immediately halt all further exports of crowd-control weapons—including tear gas, water cannons, and armored vehicles—to Indonesia.

  2. Conduct a full investigation into the use and impacts of South Korean-made crowd-control weapons abroad, and require companies to submit post-export monitoring reports.

  3. Reform the export control system to ensure South Korean crowd-control weapons are not used to suppress democracy movements overseas—this includes banning exports to high-risk countries, mandating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s, and enforcing penalties and license revocations for violations.

  4. Strictly regulate the overseas export of crowd-control weapons and equipment—such as handcuffs and water cannons—that currently do not require police authorization.

September 2, 2025
World Without War

 


 

전쟁없는세상은 한국산 시위진압무기가 인권침해와 민주주의 파괴에 사용되는 정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토고, 케냐, 튀르키예, 태국, 방글라데시, 미얀마, 페루 등에서 한국산 최루탄, 물대포가 사용된 정황을 파악했습니다. 우리가 행동하면 한국산 시위진압 무기 수출을 규제하고, 무고한 희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한국산 시위진압 무기 수출을 막기위한 캠페인 소식이 궁금하신 분들은 전쟁없는세상 뉴스레터 구독을, 후원으로 캠페인에 함께 하고 싶은 분들은 시위진압무기 수철 저지 캠페인 후원을 해주세요.

 

   전쟁없는세상 뉴스레터 구독하기(클릭)   한국산 시위진압무기 수출 저지 캠페인 후원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