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인권옹호활동을 하는 인권옹호자들에게 물리적 폭력만이 아니라 여러 악법을 적용해 기소하고 구금하고 벌금으로 제재를 가하고 있지요. UN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이 방한하는 것을 계기로 한국의 인권옹호자들이 처해있는 실태를 공유하고 알리는 보고대회를 합니다.
영역별 주체별 인권옹호자 상황에 평화옹호자, 병역거부자가 따로 들어갑니다. 병역거부 부분 발표는 이길준이 할 예정이고, 전쟁없는세상 활동가들의 재판과 벌금 이야기는 평화옹호자 부분에 사례로 들어갑니다.
마가렛 세카기야 UN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 방한 즈음
2013 한국 인권옹호자 실태 보고대회
일시 및 장소 : 2013년 5월 6일(월) 오전 10시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
사회 :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Ⅰ. 유엔 인권옹호자 방한의 의미 (황필규/공감)
Ⅱ. 한국 인권옹호자 탄압의 주요 경향 (명숙/인권운동사랑방)
Ⅲ. 영역별 인권옹호자 실태
1) 권리영역별
– 노동권 옹호자 (류미경/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주거권 옹호자 (이원호/용산참사진상규명위원회)
– 환경권 옹호자 (배보람/녹색연합)
– 평화 옹호자 (백가윤/제주해군기지건설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
– 언론의 자유 옹호자 (임장혁/YTN 노조)
2) 권리주체별
– 양심적 병역거부자 (이길준/전쟁없는세상)
– 내부고발자 (장정욱/참여연대 공익제보지원센터)
– 학생인권 옹호자 (김광혁/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인권친화적학교+너머운동본부)
– 장애인권 옹호자 (남병준/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 LGBT 인권옹호자 (나영정/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 이주민 권리 옹호자 (Udaya Rai/이주노조)
<공동주최>
공익법센터 어필,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국가보안법폐지국민연대, 국가인권위 제자리 찾기 공동행동, 국제민주연대, 녹색연합,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양심에따른병역거부권실현과대체복무제도개선을위한연대회의, 용산참사진상규명위원회, 유엔인권정책센터, 이주공동행동, 인권운동사랑방, 인권친화적학교+너머운동본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제주해군기지건설 저지를 위한 전국대책회의, 참여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희망의 버스 사법탄압에 맞서는 돌려차기, 765kV밀양송전탑반대대책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