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캠프 소개

2013 평화캠프는 초심자를 위한 비폭력트레이닝으로 진행됩니다.

트레이닝은 다양한 게임과 소그룹 토론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사회운동에 관심있는 누구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8월 15일 (목)

8월 16일 (금)

8월 17일 (토)

8월 18일 (일)

 아침 먹고  권력과 갈등 – 권력구조를  이해하기, 바꾸기  효과적이고 민주적인 조직  (운영)을 위하여 – ‘무엇을  위해 데모하는가’만큼 ‘어  떻게 데모하는가’가 중요  한 세상을 위해  평가
 점심 먹고  여는 마당 +사회변혁을  위한 비폭력의 힘  캠페인 전략 개발 – 사회운  동의 하우투(How to)  비폭력과 의사소통
 저녁 먹고  다른 운동으로부터 배운  다 – 사례연구  사회변혁을 위한 임파워먼  트(Empowerment)  비폭력데모 준비하기 – 비  폭력직접행동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고, 왜 하는가

<Session1 사회변혁을 위한 비폭력의 힘>

폭력과 비폭력에 대한 참가자들의 다양한 생각을 나누어보고, 비폭력에 대한 우려들을 하나씩 짚어봅니다. 비폭력·평화이론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Session2 다른 운동으로부터 배운다 – 사례연구>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진행된 운동들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 함께 이야기합니다. 1959년 미국 내의 인종분리를 철폐시키기 위해 비폭력 트레이닝을 했던 내슈빌 운동그룹에 관한 다큐영상을 상영합니다. 레스토랑의 흑백분리정책을 타겟으로 하는 행동을 준비하는 과정. 이 비폭력 트레이닝과 직접행동은 ‘자유승차운동’으로 발전해 인종분리정책을 끝내는 촉매가 되었습니다.

 

<Session3 권력과 갈등 – 권력구조를 이해하기, 바꾸기>

효과적인 비폭력캠페인을 기획하기 위해서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권력분석’ 세션은 우리가 변화시키고자 하는 권력구조를 분석하고 약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둡니다. ‘권력이론’, ‘권력축 분석하기’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권력구조를 지탱하고 있는 축들을 분석하고 약점을 찾아보는 연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Session4 캠페인 전략 개발 – 사회운동의 하우투(How to)

빌 모이어가 개발한 활동계획짜기의 여덟단계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이 툴을 사용하면 사회운동이 현재 처한 상황에 대한 분석과 앞으로 전망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활동가의 네 가지 유형을 살펴봅니다.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각자의 몫과 역할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활동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Session5 사회변혁을 위한 임파워먼트(Empowerment) – 사람들을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이 세션에서는 우리에게 힘을 주는 것들을 탐구해보고 우리의 활동에 힘을 주는 방법을 찾아나갑니다. 가치를 다루기, 힘을주는 다리 건설하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Session6 효과적이고 민주적인 조직(운영)을 위하여 – ‘무엇을 위해 데모하는가’만큼 ‘어떻게 데모하는가’가 중요한 세상을 위해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든 워크숍 내에서든 아니면 한 단체 안에서든 집단 차원의 활동은 사회활동의 가장 기본 중의 하나이며 또한 사회 변혁을 위한 과정에서도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렇기에 새로운 변화를 위한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우며 민주적인 방식을 계발하고 공유하며 실행에 옮기는 것은 그만큼 중요성을 갖습니다. 이상적인 집단은 집단 내의 창의성과 상호 간의 교감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구조와 체계를 잘 조율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내면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서도 비폭력이 발현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와 같은 목표는 구성원들이 지혜롭게 그리고 책임감 있게 참여하고 협력을 할 때 달성될 수 있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주로 현재의 조직, 조직운영 등에 대한 진단을 함께 해보고 이상적인 조직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 이러한 요소들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함께 논의해볼 예정입니다.

 

Session7 비폭력과 의사소통

‘비폭력과 의사소통’ 세션의 목표는 갈등을 이해하고, 그것과 함께 활동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비폭력적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입니다. 역할극 등의 활동을 통해 비폭력대화의 방법인 ‘적극적 경청’과 ‘나 전달법’을 소개합니다. 특히 사회운동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유형과 해결 방법을 탐구합니다.

 

Session8 비폭력데모 준비하기 – 비폭력직접행동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고, 왜 하는가

이 세션은 비폭력트레이닝의 전 과정 중 비폭력’직접행동’트레이닝에 관한 것입니다. 비폭력직접행동이 무엇이고 전체 사회운동에서 비폭력직접행동은 어떤 역할을 하며 비폭력직접행동을 효과적이게 만드는 요소가 무엇인지 다룹니다. 진 샤프의 198가지 비폭력행동의 방법, 역사적으로 비폭력직접행동이 사용되었던 사례 등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 참가신청서가 잘 안보이거나 안보내지는 분들은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docs.google.com/forms/d/11Mrd9Ive9xsVMqUMhtX9fJu8FpaihXDjpDWV0EkAxGM/edit

참가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