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시민사회안 발표 기자간담회
보 도 자 료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시민사회안 발표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구체적인 대체복무제안 최초로 발표 ‘징벌적 대체복무제’가 아닌 헌재 결정 취지와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는 대체복무제 제안 일시 장소 : 2018. 07. 19 (목) 11:00,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오늘(7/19) [...]
보 도 자 료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시민사회안 발표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구체적인 대체복무제안 최초로 발표 ‘징벌적 대체복무제’가 아닌 헌재 결정 취지와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는 대체복무제 제안 일시 장소 : 2018. 07. 19 (목) 11:00,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오늘(7/19) [...]
기자회견 개요 일시: 2018년 7월 5일 11시 국회 정론관 참가자: 이철희, 박주민, 군인권센터, 참여연대, 전쟁없는세상, 민변,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발언 순서: 이철희, 박주민, 이태호, 기자회견문 낭독 <기자회견문> 지난 6월 28일 헌법재판소는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수행할 수 있는 대체복무제를 「병역법」 [...]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하고 대체복무제 도입을 명령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환영한다 ‘군대가 아니면 감옥인 사회’를 바꿀 평화의 문을 연 결정 하루빨리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대체복무제 도입해야 오늘(6/28) 헌법재판소는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수행할 수 있는 대체복무제를 「병역법」 제5조 제1항 소정 병역의 종류로 정하지 아니했기 [...]
한반도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지난 70여 년 동안 강고한 군사주의와 여러 유형의 폭력이 존재하는 곳이었습니다. 이 폭력과 군사주의는 일차적으로 남북한의 분단과 한국전쟁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런 한반도에 70년 만에 처음으로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6월에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립니다. 평화를 바라는 [...]
오늘(5/2)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2017년 세계 군사비 현황을 발표했다. 이번에도 한국은 세계 10위 군사비 지출국에 올랐다. 2018년의 경우 한국의 국방예산은 2017년보다 7% 증가한 43조 1,581억 원으로 책정된 상태이다. 8번째 세계군축행동의 날을 맞아, 우리는 판문점 선언이 보여주듯 평화는 더 많은 군사비 지출이 아니라 대화와 [...]
2월 1일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에서 병역거부자에 대한 무죄 판결이 나왔다. 1심 무죄 판결은 작년 한해에만 40건이 넘어가는데 항소심 무죄 판결은 2016년 광주지방법원에서 무죄판결을 내린 것이 유일했고 이번이 두 번째다. 이번 무죄 판결이 더 많은 항소심 무죄 판결로 이어지고, 나아가 대법원에서도 [...]
병무청은 12월 21일, 홈페이지에 병역기피자 266명의 이름, 나이, 주소 등의 인적사항을 공개했습니다. 작년 12월 20일 첫 공개를 한 뒤로 두 번째 병역기피자 신상공개입니다. 병역기피자 신상공개는 작년 첫 시행 때부터 여러 시민사회 단체의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신상공개자 237명 가운데 160명 이상이 [...]
송영무 국방부 장관 임명, 국방개혁은 방산비리 척결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2017년 7월 13일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임명되었습니다. 오늘 취임식에서 신임 장관은 ‘방위산업 육성’을 포함한 국방개혁 주요과제 여섯 가지를 발표했습니다. ‘2017 아덱스 저항행동’은 송영무 장관에게 국방개혁에 있어 무기거래의 투명성을 [...]
대체복무제 도입에 대한 시민사회 의견서 국정자문위 제출 기자회견 양심적 병역거부자 대체복무제 도입, 문재인 정부의 우선 인권과제가 되어야 합니다 기자회견 순서 사회 : 이용석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발언1 : 대체복무제 도입의 필요성 - 하급심 무죄 판결 등 최근 흐름을 중심으로 (민변 김수정 [...]
공직선거법 제18조 제1항 제2호는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금고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지 아니하거나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사람”의 선거권을 박탈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는 실형 1년 이상을 선고 받고 교정시설에 수용된 수형자와 가석방자 등입니다. 양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