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지난 70여 년 동안 강고한 군사주의와 여러 유형의 폭력이 존재하는 곳이었습니다. 이 폭력과 군사주의는 일차적으로 남북한의 분단과 한국전쟁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런 한반도에 70년 만에 처음으로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6월에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립니다. 평화를 바라는 한국 시민들과 세계 시민들은 휴전협정이 종전선언으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남북, 북미간에 평화협정이 체결되고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평화협정 체결과 북한 핵 폐기는 물론 아주 좋은 일입니다만, 한반도의 군사주의와 분단이 만든 폭력을 극복하는 일은 남북한과 미국 정부의 관계가 개선되는 것보다 더 어렵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분단이 낳은 군사주의 폭력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입니다. 1945년 일본 식민지로부터 해방 후 지금까지 19000명이 넘는 병역거부자가 감옥에 갇혔고, 이 문제가 널리 알려지고 한국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된 2000년 이후에만도 9000명이 넘는 청년들이 병역을 거부해 감옥에 갇혔습니다.
평화운동을 지지하는 많은 한국 시민들과 양심적인 지식인들, 그리고 국제사회는 병역거부자를 가두지 말 것을 한국 정부에 요구해왔습니다. 현 대통령인 문재인 대통령 또한 인권변호사 시절뿐만 아니라, 대통령 후보 시절에도 여러 차례 대체복무제도의 필요성을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한국 정부는 병역거부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결과 여전히 238명(2018년 4월말 집계)이 병역거부로 감옥에 갇혀 있고 이는 전 세계 다른 모든 나라의 병역거부 수감자를 합친 것보다도 많은 숫자입니다.
2018년 세계 병역거부자의 날을 맞아 우리는 한국 정부에 요구합니다. 한국 정부는 양심적 병역거부권을 인정하고 감옥에 갇힌 병역거부자들을 석방해야 합니다.
병역거부권 인정은 병역거부자들이 양심, 사상,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뿐만 아닙니다. 분단과 한국전쟁이 만들어낸 분단폭력과 군사주의를 극복하는 일은 병역거부권을 인정할 때 비로소 가능합니다. 70년 만에 찾아온 소중한 평화의 기회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항구적인 평화국가로 한국이 발돋움하기 위해서라도 병역거부권은 반드시 인정되어야 합니다 .
2018년 5월 15일 전쟁없는세상
—-
The Korean Peninsula is a place where strong militarism and different types of violence have existed for over 70 years since World War II. This violence and militarism exist primarily due to the Korean War and consequent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 atmosphere of peace is being created o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in 70 years. Following the inter-Korean summit in April, the U.S.-North Korean summit will be held in June. South Koreans and world citizens who want peace hope that the recent truce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will lead to a declaration to end the war. They hope, furthermore, for a peace treaty conclude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 Korean peninsula free of nuclear weapons.
The signing of the peace treaty and the abolition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re of course very important, but overcoming the violence created by militarism and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more difficult and will require more time and effort than improving relations among the two Koreas and the U.S. government.
A key consequence of militarism produced by this division is conscientious objection.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sm in 1945, more than 19,000 South Korean conscientious objectors have been imprisoned, and since 2000, when this social issue gained visibility in Korean society, more than 9,000 young people have been imprisoned for refusing military service.
Many citizens, critical intellectual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ask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ot to imprison objectors. The current president Moon Jae-in also spoke several times about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service system, not only during his days as a human rights lawyer but also during the presidential candidac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still does not recognize the right to refuse to perform military service. As a result, 238 people are still in prison for conscientious objections (as of April 2018), which is more than the sum of all imprisoned objectors in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On International Conscientious Objectors Day, we ask the Korean government to acknowledge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and release the conscientious objectors who are currently in prison.
Recognizing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does not only involve guaranteeing objectors the freedom of conscience, thought, and religion. In addition, overcoming deep-rooted violence and militarism will be possible only when we acknowledge this right to object. In order for Korea to make the most of the precious opportunities of peace that have come in 70 years and to become a country of permanent peace,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must be recognized.
May 15, 2018
World Without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