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 인권친화적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도입
국회 토론회 인권친화적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도입 2019년 10월 2일(수)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주최 : 국가인권위원회 주관 : 국회의원 도종환, 국회의원 전해철,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군인권센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전쟁없는세상, 참여연대 2018년 6월,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국회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
국회 토론회 인권친화적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도입 2019년 10월 2일(수)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주최 : 국가인권위원회 주관 : 국회의원 도종환, 국회의원 전해철,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군인권센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전쟁없는세상, 참여연대 2018년 6월,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국회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
국내 최대 규모 무기 전시회, 서울 아덱스가 10월 15일부터 20일까지 서울공항(성남시)에서 열립니다. 전시회에 참가하는 군수업체들은 자사의 무기가 얼마나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목표물을 제거할 수 있는지 홍보하며, 전시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수록 더 많은 무기가 거래됩니다. 작년 500여 명의 예멘 난민이 한국을 [...]
올해부터 전쟁없는세상의 병역거부 상담이 달라집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상담의 형식과 방식, 내용을 확 바꿨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교육과 상담을 함께 진행합니다. 병역거부를 준비하면서 고민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한시간에서 한시간 반 정도 교육 시간을 갖고, 이후 간단한 [...]
전쟁저항자 인터내셔널(War Resisters' International)이 주최하는 국제 컨퍼런스 참가로 2019년 7월 19일부터 8월 5일까지 전쟁없는세상 사무국이 사무실을 비웁니다. 중요한 연락은 메일 peace@withoutwar.org로 주시면 틈틈이 확인하겠습니다. 다만 인터넷 사용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메일 확인하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음을 양해부탁드립니다. 국제컨퍼런스에서 [...]
올해부터 전쟁없는세상의 병역거부 상담이 달라집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상담의 형식과 방식, 내용을 확 바꿨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교육과 상담을 함께 진행합니다. 병역거부를 준비하면서 고민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한시간에서 한시간 반 정도 교육 시간을 갖고, 이후 간단한 브리핑과 [...]
2019 평화캠프가 올해도 평택평화센터에서 개최됩니다. 8월 15~18일까지 3박4일간 진행되며 이번 캠프의 주제는 <뱅크시에서 김진숙까지, 창의적 행동(creative action)의 모든것>입니다. 어떻게 데모를 좀 더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적극 추천드려요. (*김진숙 지도위원님의 쾌유를 기원합니다.) 참가신청 바로가기 [...]
병역거부 교육과 상담 - 평화를 위한 행동, 첫번째 프로그램인 '전쟁에 저항하는 방법1: 병역거부의 역사' 신청 페이지가 열렸습니다. 이 교육은 전체 프로그램의 오프닝격으로 병역거부와 병역거부 운동의 역사, 그리고 한국 병역거부 운동의 역사를 두루 다루면서 병역거부의 의미를 함께 나눌 예정입니다. [...]
올해부터 전쟁없는세상의 병역거부 상담이 달라집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상담의 형식과 방식, 내용을 확 바꿨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교육과 상담을 함께 진행합니다. 병역거부를 준비하면서 고민해야할 것들을 중심으로 한시간에서 한시간 반 정도 교육 시간을 갖고, 이후 [...]
5월 15일은 세계 병역거부자의 날로서 전 세계의 평화활동가들과 병역거부자들이 전쟁을 막기 위한 직접행동으로서 병역거부의 권리를 지지하고 병역거부자들에 연대하는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2003년부터 병역거부자의 날에 다양한 행사를 펼쳐왔고, 최근에는 몇 년 동안 헌법재판소에서 국회까지 자전거 행진을 했습니다. 올해에는 헌재 결정 이후의 상황에 [...]
전쟁없는세상은 반군사주의와 평화운동의 다양한 주제를 좀 더 심도 깊게 다루기 위해 활동가, 작가, 예술가, 연구자 등 여러 훌륭한 분들을 고정필진으로 모셨습니다. 아래 다섯 분께서 돌아가면서 한 달에 한 번씩 군사주의, 퀴어, 예술행동, 평화교육, 평화운동에 대한 이야기로 여러분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