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꾸는 비폭력의 힘 – 평화운동이 궁금한 시민들을 위한 안내서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목차>
1. 웰컴 투 평화운동
왜 이 연구를 시작했나요︱이 연구는 어떻게 진행했나요︱이 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2. 평화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다섯 가지 질문들
Q1 가정폭력이나 학교폭력은 평화운동의 주제가 될 수 있나요? ― 평화운동의 목표
전쟁과 폭력에 맞서는 평화운동︱전쟁은 왜 일어나고 누가 전쟁을 원하나︱평화운동 의 목표
Q2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운동은 평화운동이 아닌가요? ― 평화운동의 범주
평화운동이 다루는 이슈들︱평화운동이라는 도구가 쓰이는 곳
Q3 평화운동은 항일무장독립운동을 비판하나요? ― 평화운동의 철학
무엇이 폭력인가︱평화운동은 왜 비폭력이어야 하나
Q4 파병을 막거나 대체복무제도를 만들려면 국회의원이 되는 게 더 빠르지 않나요? ― 평화운동의 방법
권력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사회운동은 어떻게 세상을 변화시키나︱평화운동의 강 력한 도구, 비폭력 직접행동
Q5 평화운동은 왜 군인 인권은 다루지 않나요? ― 평화운동의 친구들
평화운동의 친구들︱평화운동은 친구가 필요하다
3. 평화운동 사례
평화롭게 살고 싶습니다: 매향리, 대추리, 강정마을, 소성리
매향리, 대추리, 강정마을, 소성리︱토착민을 쫓아내는 군사주의
전쟁에 동참하지 않겠습니다: 병역거부 캠페인
아무나 할 수 있는, 누구든 잘 알고 해야 하는︱전쟁에 대한 양심적 거부
무기들아 잘 있거라: 대인 지뢰 캠페인, 확산탄 금지 캠페인, 최루탄 수출 반대 캠페인, 핵무기 금지 캠페인
개별 무기에 대한 평화운동의 다양한 저항︱평화운동과 시민들의 몫
살인마보다 무서운 살인무기 전시회를 멈춰라: 아덱스 저항행동
무기산업체와 전쟁 돈벌이︱한국 정부와 방위산업︱여기서 전쟁이 시작된다, 여기서 전쟁을 멈출 수 있다
가해자의 자리에 서 보기: 베트남전 시민법정
평화의 시선으로 보면 가해자로서 책임이 보인다︱시민평화법정이라는 형식︱ 시민들이 열어가는 평화운동의 자리
4. 연구보고서를 끝맺으며
5. 부록
국내 평화운동 단체들 목록︱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