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소개
‘추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병역거부운동의 20년을 기록함과 동시에 무기거래감시운동, 비폭력트레이닝 같은 전쟁없는세상의 평화행동 20년을 재기록한 전시이다.
병역거부운동은 어떻게 군대를 가는 남성이라는 단일한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투쟁으로 흘러가지 않고 수많은 존재와의 연결 속에서 모두의 평화를 외치는 비폭력운동이 되었을까. 전쟁에 반대한다는 거대한 선언은 어떻게 일상을 바꾸어나가는 작은 외침과 만나게 되었을까. 군사주의에 반대하는 목소리는 어떻게 한국사회의 여러 현장에 참여하고 다양한 사회운동과 연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을까. 그래서 어떻게 전쟁없는세상은 병역거부운동에서 무기거래감시운동으로 확장될 수 있었을까.
본 전시는 그간 현장과 시위를 오가는 숨가쁜 운동의 시간 속에서 두텁게 쌓인 아카이브들을 처음으로 한 자리에 펼쳐보인다. 아카이브 전시, 특히 사회 운동을 갈무리하는 아카이브 전시는 쉴틈없이 달리며 만들어낸 현재라는 시간 위에서 여전히 산재한 일들을 잠시 멈추는 짧은 휴식이기도 하다. 어떤 지나간 슬픔은 충분히 다독이고, 어떤 지나간 기쁨의 여운은 길게 나누며 호흡을 가다듬고 앞으로의 여정을 준비하는 스트레칭이기도 하다.
본 전시는 기사, 간행물, 회의록, 책, 사진, 비디오 등과 같은 공적 기록물의 원본과 편지, 일기라는 개인의 사적 기록, 그리고 미디어와 대중문화에서 언급되며 창작의 재료로 사용된 장면들, 시위 현장의 기억들을 조합하여 거대한 시간을 더듬어본다. 전시장에는 병역거부운동의 역사와 한국사회의 사건, 개인의 서사가 다매체적인 모양과 형식으로 관객들을 맞이할 것이다. 그 속에서도 기록되지 못한 빈 칸들은 관객이자 수신자의 기억을 통해 그리고 우연한 대화와 필연적인 만남을 통해 채워보고자 한다.
전시의 제목 ‘추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소설가 김초엽의 작품 제목에서 가져왔다.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상상하고 재구성하는 것이 sf소설이라면 병역거부운동의 역사야말로 가장 픽션적인 것일지도 모른다. 속도전의 시간 감각과는 다른 흐름으로 가는 사회 운동의 시간은 맴돌고, 회전하고, 비스듬히 가고, 제자리로 돌아오고 거꾸로 흐른다는 점에서 sf에서 묘사되는 비현실적인 시간의 성격과 닮아있다. 하지만 그것이 평화에 가장 가까운 곳으로 우리를 이끄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우리는 그 시간을 소중히 걸어갈 것이라고 이 전시를 통해 짧은 추신을 남기고자 한다.
전시 개요
- 전시명: 추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일시: 6월 6일(화)~6월 12일(월) 오후1시~7시(6일은 전시 준비로 4시에 오픈합니다. 연계프로그램이 있는 날 제외, 휴관일 없음)
- 장소: 탈영역우정국(6호선 상수역 인근)
- 참여: 전쟁없는세상, 김경묵
- 협력기획: 전솔비
- 디자인: 랑
- 음악: 오로민경
- 주최, 주관: 전쟁없는세상
- 협력: 우정국
- 후원: 다음세대재단
*반려동물 동반 관람 가능합니다. 휠체어 경사로 있습니다.
*김경묵은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비디오아트, 영상설치 등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오가며 작업하는 영화감독이자 시각예술가이다. 현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의 영상예술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전시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연계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오픈 공연×토크>, 6월 7일(수) 저녁 7시~9시, 종이로 만든 배+몹쓸밴드, 전솔비(큐레이터)+쭈야+우공(이상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강연> 우크라이나에서 만난 평화, 6월 9일(금) 저녁 7시~9시, 박은하(경향신문 기자)+이용석(사회,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강연> 여성주의와 병역거부운동, 6월 10일(토) 오후 3시~5시, 정희진(평화학 연구자)+오리(사회,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강연> 전쟁과 군대, 그리고 비인간 동물, 6월 11일(일) 오후 3시~5시, 황현진(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뭉치(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20년. 정기후원으로 응원해주세요. [정기후원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