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below)
우리는 각자의 양심에 따라 군복무를 거부한 병역거부자로서 이번 계엄사태와 내란 시도를 무거운 마음으로 지켜봤다. 만약 우리가 저 자리에 군인의 신분으로 있었다면 폭력 앞에 과연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었을지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는 밤이었다.
계엄군이 유리창을 깨고 국회에 난입한 것을 바라봤다. 1980년 광주에서 시민들을 향해 총을 쐈던 군대가 이번에는 민주주의와 시민의 기본권을 파괴하는 내란에 동참했다. 다시는 탱크와 군홧발에 민주주의가 짓밟혀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 시민들의 저항으로 계엄과 내란 시도를 막아냈다. 그리고 제복 입은 시민들인 병사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도적 폭력에 기반한 부당한 명령에 복종하지 않았다.
국회에 난입한 707특수임무단은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대통령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고, 선관위원회 접수를 명령받은 국군방첩사령부의 군인들은 편의점에서 라면을 사먹으며 시간을 끄는 등의 방식으로 계엄 시도에 저항했다.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 군대의 수뇌부 등이 민주주의를 유린하려 할 때 이를 막은 것은 결국 시민의식과 개개인의 양심에 따른 불복종이었던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극한의 정치적 갈등을 군사적 수단인 계엄령 선포를 통해 해결하려 했고, 여인형 방첩사령관은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위기 상황에 군인들은 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이처럼 군대는 역사적으로 언제든 권력자의 잘못된 선택에 동원되어 시민들의 생명과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다. 쿠데타는 군이 오작동한 결과가 아니라, 폭력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군의 작동 방식 중 하나일 뿐이라는 걸 우리 역사가 반복해서 증명했다.
이번에는 시민들의 시민의식과 군인들의 다양한 불복종으로 윤석열 일당의 친위쿠데타를 막았지만 우발적인 사고가 일어났다면 큰 비극을 치러야 했을지도 모른다. 또한 개인의 양심은 아주 큰 힘을 발휘하지만 거대한 폭력 앞에서 양심의 목소리를 따르려면 큰 희생을 각오해야 한다. 우리는 개인이 이를 감당할 것을 요구할 수도 없고 그러기를 기대만 하고 있어서도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현역 군인들이 부당한 명령, 특히 헌법에 위배되고 인류가 쌓아온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에 어긋나는 명령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법과 제도로서 보장해야 한다. 특히 현역 군인에게도 병역을 거부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 많은 나라에서 현역 군인의 병역거부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유엔자유권위원회 또한 2023년 11월에 현역 군인의 병역거부권을 인정할 것을 한국 정부에 권고했다. 현역 군인의 병역거부권이 인정 될 때 군인 개개인이 부당한 명령에 불복종 할 수 있는 길도 열릴 수 있다.
평화와 민주주의를 고민해온 우리 병역거부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내란범 우두머리 윤석열을 하루빨리 탄핵하고 처벌하라.
계엄과 내란에 동참하고 동조한 군대의 책임자들을 엄중히 처벌하라.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현역 군인이 부당한 명령에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조속히 인정하라.
2024.12.12 양심적 병역거부자 39인 일동
홍정훈, 타랑, 최성희, 조정의민, 최기원, 조아해, 조성현, 정록, 정재훈, 장길완, 임재성, 이조은, 이원표, 이용석, 이상, 윤슬, 유호근, 우공, 오수환, 오경택, 염창근, 엄문희, 백승덕, 박정훈, 박정경수, 박유호, 문명진, 두한균, 나단, 김훈태, 김형수, 김최건희, 김자유, 김경묵, 길수, 공현, 고동주, 까밀라, 강상우(가나다 역순)
—
The Right to Disobey Unjust Orders Must Be Recognized to Prevent Another Coup
As conscientious objectors who have refused military service based on our individual consciences, we have observed the recent martial law crisis and attempted insurrection with heavy hearts. It has been a long, reflective night, wondering what choices we might have made if we had been in the soldiers’ shoes, confronted with such violence.
We watched as martial law forces shattered windows and stormed the National Assembly. The same military that opened fire on citizens in Gwangju in 1980 participated this time in an insurrection that sought to destroy democracy and basic civil rights. It was the resistance of citizens, who believed that democracy should never again be crushed under tanks and military boots, that thwarted the coup and martial law attempt. Soldiers, as uniformed citizens, also resisted in various ways, refusing to comply with unjust orders rooted in systemic violence.
The 707th Special Mission Group, ordered by the president to forcibly remov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disobeyed the command. Soldiers from the 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tasked with seizing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instead stalled for time, buying instant noodles at a convenience store. When the president, defense minister, and military leadership sought to trample democracy, it was ultimately the civic awareness and individual conscience-driven disobedience that stopped them.
President Yoon Suk Yeol attempted to resolve intense political conflict by imposing martial law, a military measure. Defens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Chief Yeo In-hyung stated, “Regardless of right or wrong, soldiers must follow orders in a crisis.” History repeatedly proves that the military can be mobilized for a ruler’s misguided decisions, threatening citizens’ lives and democracy. A coup is not a malfunction of the military but one of its operational mechanisms—using violence to resolve conflicts.
While the civic awareness of citizens and the disobedience of soldiers prevented President Yoon and his cohort’s self-coup, a tragic outcome could have occurred if an accident had unfolded. Though personal conscience can wield immense power, following its voice in the face of overwhelming violence often requires immense sacrifice. It is neither fair nor sustainable to rely solely on individuals to bear this burden.
This is why active-duty soldiers must be legally and institutionally guaranteed the right to refuse unjust orders, especially those violating the Constitution and democratic and human rights values. In particular, active-duty soldiers must be granted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Many countries recognize this right for active-duty personnel, and in November 2023,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do the same. Recognizing this right would pave the way for individual soldiers to disobey unjust orders.
We, conscientious objectors who have long reflected on peace and democracy, assert the following:
Impeach and punish Yoon Suk Yeol, the ringleader of the insurrection, without delay.
Severely punish the military leaders who participated in and supported martial law and the coup attempt.
To ensure such events never recur, the Korean government must urgently recognize the right of active-duty soldiers to refuse unjust orders.
December 12, 2024
Signed by 39 Conscientious Obj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