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한국은 이스라엘과의 무기거래/군사원조를 당장 중단하라!
한국은 이스라엘과의 무기거래/군사원조를 당장 중단하라! 가자지구의 폭격이 계속되고 있고 사상자 수도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지금, 팔레스타인의 시민사회는 국제사회에 가자 학살과 이스라엘의 점령에 항의하는 BDS(보이콧·투자철회·제재의 영문 약자)를 요청하고 있다. 한국의 시민사회단체 및 민중운동 단체들은 팔레스타인 시민사회의 뜻에 적극 화답하고자 [...]
한국은 이스라엘과의 무기거래/군사원조를 당장 중단하라! 가자지구의 폭격이 계속되고 있고 사상자 수도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지금, 팔레스타인의 시민사회는 국제사회에 가자 학살과 이스라엘의 점령에 항의하는 BDS(보이콧·투자철회·제재의 영문 약자)를 요청하고 있다. 한국의 시민사회단체 및 민중운동 단체들은 팔레스타인 시민사회의 뜻에 적극 화답하고자 [...]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 책 나오고 아무것도 안 하고 넘어가기엔 조금 심심하기도 하고 서운하기도 해서 조촐한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소견서로만 보던 병역거부자들을 여럿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꼭 병역거부자들만 모이는 자리는 아닙니다. 병역거부에 관심 있는 분들, 병역거부를 지지하는 분들, 그냥 한번 구경 오고 싶었던 [...]
2014평화캠프 - 초심자를 위한 비폭력 트레이닝 일시, 장소, 프로그램 확정되었습니다. 8월 14~17일 (목~일) 작년과 마찬가지로 평택 평화센터에서 진행됩니다. 15일(금)이 휴일인 관계로 14일 하루 월차를 내시거나 여의치 않으시면 반차를 내시고 참가 가능하세요. 첫째날(14일) : 사회변혁을 위한 운동단체가 비민주적인 이유 - 어떻게 [...]
존경하는 재판장님 오늘은 여느때완 다르게 호송차를 타고 재판에 오는 특별한 경험을 했습니다. 손목을 통해 느껴지는 수갑의 찬 기운이 저의 행동이 지금 실정법 하에서 어떤 위치에 와 있는지를 새삼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저는 현재 남부구치소에서 노역수로 복역 중입니다. 감옥에서 신참은 [...]
<평화활동가들이 자기발로 감옥에 걸어들어간 이유>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여옥과 오리, 향린교회 임보라 목사가 5월 20일, 오철근 선생님은 26일에 수감되었습니다. 이들은, 마을 주민들과 합의도 되지 않은 채 불법으로 진행되던 강정마을 해군기지 공사를 반대하며 공사를 막는 직접행동을 했고 재판을 받아서 각기 200만 원 [...]
2014 세계병역거부자의날 기념 자전거 행진 평화의 페달을 밟자 Roll the Pedal of Peace 5월 15일 세계병역거부자의 날은 군인이 되기를 거부하고 전쟁과 군사주의를 거부하는 사람들의 날로서, 한국에서는 2003년부터 행사를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전쟁을 지속하는 사회구조 속에서 살고있는 우리는 직간접적으로 군사복무와 [...]
2014 세계병역거부자의날 행사 <비폭력 캠페인을 위한 안내서> 출간기념행사 일시 : 2014년 5월 15일 목요일 저녁 7시 장소 : 인권중심사람 2층 한터 찾아오시는길-> http://www.hrcenter.or.kr/load.asp?subPage=160 서울시 마포구 성미산로 10길 26 (서교동 247-38) <비폭력 캠페인을 위한 안내서>를 발간하며 中 우리의 운동 방식은 [...]
동성결혼, 국가보안법 위반, 병역거부 등으로 “안보를 위협하는 자들”을 만났던 <가짜사나이2 -안보를 위협하는 자들>을 기억하십니까? 애국자도 사나이도 될 수 없는 사람들을 만나온 (원래는)병역거부토크콘서트(였었던) 가짜사나이 시리즈, 2편 이후로 5개월만에 우리는 다시 “군대”라는 소재로 돌아왔습니다. 대한민국 남성에게 ”군대”는 정상성의 기준입니다. 마치 병역이 생애주기의 [...]
제4회 세계군축행동의 날 Global Day of Action on Military Spending 우리 세금을 무기대신 복지에! Welfare, NOT Warfare! "더 많은 돈을 군사비에 사용하여 더 많은 무기를 구입한다면 우리의 삶은 더욱 안전하고, 평화로워 질까요?" 현재 전 세계 군사비는 1조 7천억 [...]
최루탄, 바레인 그리고 아랍의 봄 Tear Gas in Bahrain and Arab Spring 21세기의 혁명이라 불렸던 아랍의 봄, 과연 변화는 시작되었을까? 한국에서 볼 수 없는 한국산 최루탄은 어디서 누구를 향해 날아가고 있었을까? 국경을 넘어 우리는 어떻게 손잡을 수 있을까? 바레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