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0 전략

시간: 30분 이상

목표: 비폭력 캠페인의 풍부한 사례를 배우고, 캠페인/운동/전술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진행 방법:

  • 참가자들이 대여섯 명씩 조를 짓도록 한다. 조별로 한 사람이 종이에 1부터 10까지 숫자를 쓰도록 한다. 참가자들에게 (우리가 보통 하는 ‘협력’ 활동과는 반대로) 어느 조가 주어진 과제를 가장 빨리 수행하는지 ‘경쟁’할 것이라고 말한다.
  • 각 조에게 가능한 한 빨리 10가지 전쟁을 나열하고, 다 하면 손을 들라고 한다. 진행자는 시간을 확인한다. 모든 조가 과제를 마치면, 이번에는 10가지 비폭력 캠페인을 나열하고 역시 다 하면 손을 들라고 한다. 비폭력 캠페인을 나열하는 것이 전쟁보다 얼마나 더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 알려준다.
  • ‘이긴’ 조부터 벽에 붙은 전지에 그들이 나열한 비폭력 캠페인을 적도록 하고, 다른 조들에게 겹치지 않는 것이 있으면 추가하도록 한다. 아마도 다양한 종류의 캠페인/운동/전술이 나왔을 것이다. 완성된 목록을 가지고, 캠페인/운동/전술의 차이와 전략적 과정이 운동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아파르트헤이트 반대’(운동), ‘소금 행진’(캠페인), ‘연좌 농성’(전술) 등이 나왔을 수 있다. 참가자 자신이 경험한 캠페인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다. (만약 앞에서 캠페인을 나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조가 있으면,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보라고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안내서의 용어집을 참고하라. 참가자들에게 목록에 있는 각 캠페인/운동의 구성요소와 사용된 전술을 설명해보라고 한다. 참가자들이 잘 모르는 캠페인에 대해서는 진행자가 설명해줘도 좋다. 참가자들은 대개 (특히 자신이 참여했던) 캠페인과 행동에 대해 간단히 요약해주면 좋아한다.

이 연습활동은 더 긴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잘 알려진 사례를 활용해 비폭력 캠페인의 전략적 전개를 설명한다. ‘버밍험 감옥에서 보낸 편지’가 좋은 예시이다.

*의견: ‘전쟁과 비폭력 캠페인’을 ‘저항과 대안’으로 바꿔서 이 활동을 진행해도 좋을 듯함.

 

<비폭력캠페인을 위한 핸드북> 용어집 中

캠페인: 특정한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계획된 조직적인 사회적 활동. 캠페인은 가치관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하나의 집단이 주체이고, 특정한 기간에 걸친 일련의 행동과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명확한 목표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핸 전략이 있다.

운동(혹은 사회운동): (환경 운동이나 반지구화 운동처럼) 동일한 기치 아래에 있는 여러 집단과 캠페인들의 단면. 운동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될 수도 있고, 많은 경우 국제이고 다수의 집단이 속해 있으며,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어렵거나 논쟁적일 수 있다.

전략과 전술: 전략은 (캠페인의 목표처럼) 특정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장기적 계획이다. 전술은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사건이나 활동 내지는 비폭력 직접행동과 같은) 특정한 행동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