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강

시간: 최소 45분, 그림을 공유하는 시간이 얼마나 소요되느냐에 달림.

 

목적:

  • 젠더가 참가자들의 삶에 어떻게 형성되어 있고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 참가자들이 이것을 말로 표현하는 것을 돕기 위함.
  • 이 ‘삶의 강’ 버전은 참가자들이 젠더에 관한 이해를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활동이 다른 방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 다른 정체성의 부분을 확인하거나 삶의 경험을 표현하기 위한 확장된 툴로도 사용이 가능함. 방식을 다른 형식에 맞도록 변경하면 됨.

 

준비물:

  • 최소한 각 사람마다 한 장의 종이와 펜.
  • 더 큰 종이, 그리고 다양한 미술도구들(페인트, 색깔 펜, 반짝이, 목탄, 풀, 색종이) 또한 유용함.
  • 줄과 집게나 클립 ―방 안에 빨랫줄을 최종작품들을 전시하기위해 설치해야 함.

 

진행자 노트:

  • 그룹에 이런 식으로 말한다. “우리는 우리 각자 삶에서 젠더가 어떻게 특징지워 졌는지, 젠더가 어떻게 영향을 미쳐왔는지, 어떻게 우리가 느껴왔는지, 어떻게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보여 왔는지, 그리고 이것이 우리에게 미쳐온 영향에 대해 확인해 볼 것입니다. 우리는 강을 예시로, 강의 모든 회전과 구부러짐, 속도, 잔잔한 부분, 폭포, 그리고 다리에 반영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사용할 것입니다. 그리고 미술도구를 이용해서 그림을 그릴 것입니다. 강의 다른 특성을 활용해서 여러분의 삶에서 젠더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경험 모두를 표현 해보세요. 활동을 통해 여러분의 젠더에 관한 이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려보세요.”
  • 최소 15분 정도 참가자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도록 시간을 준다. 조용하고 생각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해서 사람들이 생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이 단계는 개인들에게 자신을 표현할 기회가 된다. 사람들에게 방안에서 자기 공간을 찾도록 권한다. 사람들이 그림의 질 때문에 심란해하지 않도록 격려한다.
  • 다음 질문을 통하여 사람들이 자신의 집이나 가정생활, 학교나 직장에서의 경험, 혹은 활동가 그룹에서의 경험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그들의 젠더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들의 젠더정체성에 무엇이 영향을 미쳤는가? 그것이 도전 받거나 강조된 적이 있는가? 그들이 자신의 젠더로 인해 이득을 얻은 적―혹은 잃은 적―이 있는가? 혹은 그들의 젠더는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 젠더에 관해 이해하는 방식에 관해 어떠한 근본적인 변화를 겪은 적이 있는가?
  • 15분이 지난 뒤, 혹은 사람들이 거의 마친 것처럼 보일 때, 자기 그림을 공유하고 싶은 사람을 초대한다. 그들이 무엇을 왜 그렸는지에 대해 설명하게 한다.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주고, 이 시간은 개인의 나눔을 위한 시간이지 그룹의 질문이나 발언을 하는 시간이라는 것을 확실히 한다. 만약 전체 참가자들이 너무 많다면 큰 그룹으로 하는 것보다 더 작은 그룹으로 나누어 서로 공유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전체 그룹으로 돌아와서 경험을 통해 배운 것을 나누도록 한다. 만약 사람들이 편안하게 느끼면, 트레이닝 공간 안 빨랫줄에 모든 그림들을 걸거나 벽에 붙여 모든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볼 수 있게 한다.

 

전체 그룹 토의에서 혹은 활동을 소개할 때,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그룹에서 젠더에 관해 활동을 할 때, 촉진자의 언어가 젠더의 복잡성을 반영하는 것, 그리고 젠더 이분법을 강조하지 않고 그 시각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누군가 이런 개념에 대해 낯설어 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워한다면 위와 같이 툴을 설명하고 그 사람들을 위해 좀 더 시간을 쓸 수도 있지만 전체 그룹에서 긴 (그리고 어쩌면 과열된) 논쟁은 피한다. 역사적으로 젠더에 관한 사회적 이해가 얼마나 변화해 왔는지 생각해 보는 것(예를 들어 ‘남성’과 ‘여성’ 역할들)이 도움이 되고 덜 문제가 될 것이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