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세계 종교자유 보고서

민주주의, 인권, 노동국

미국 국무부

2012년 7월 30일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1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July 30, 2012
대한민국
II. 정부의 종교의 자유 보장 현황
법적·정책적 토대
법률에 의해 20~30세 사이에 속하는 사실상의 모든 성인 남성은 병역의 의무가 있다. 복무기간은 병과(兵科)에 따라 24~27개월이다. 조사대상기간 중에 군 복무기간이 21~24개월로 축소됐다. 하지만 법률은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병역의무를 거부한 위반자는 최고 3년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 1년 6개월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 받은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병역의무 및 예비군 복무 의무가 면제되며 추가로 벌금이나 기타 처벌을 받지 않는다.
정부 관행
종교적인 이유로 수감 혹은 구금된 경우를 포함, 종교의 자유 침해 사례가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는다. 여호와의 증인 산하 기구인 워치타워인터내셔널(Watchtower International)은 조사대상기간 말을 기준으로 여호와의 증인 신도 약 761명이 양심적 병역 거부로 평균 18개월을 복역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2010년 말 현재 복역 중인 신도의 수는 약 903명이었다. 조사대상기간의 경우 양심적 병역 거부자 수는 1월에 846명으로 최고를 기록했으며 6월에는 732명으로 감소했다. 이와 같은 수치는 복역 중인 양심적 병역 거부자 수가 400~500명 선이던 2009년과 비교하여 급증한 것이다. 워치타워인터내셔널은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이 국방부에서 대체 복무제를 도입할 것을 기대하고 복역 시기를 미뤘기 때문에 양심적 병역 거부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2009년 말에 국방부는 대체 복무제를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국방부 결정이 발표된 이후로 양심적 병역 거부 수감자의 수가 급증했다.
워치타워인터내셔널은 조사대상기간 말을 기준으로 대법원에 상고한 양심적 병역 거부 건수는 155건이고 헌법재판소에 위헌 제청이 접수된 건수는 15건이며 그 중 2건이 예비군에 관한 건이라고 보고했다. 헌법재판소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를 처벌하는 병역법 조항에 대해 2004년과 조사대상기간에 각각 합헌 결정을 내린 바 있다. 헌법재판소는 2004년에 병역법이 합헌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헌법재판소는 조사대상기간 중에 관련 병역법 조항과 향토예비군설치법 조항이 합헌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병역의무를 이행하였지만 제대한 이후에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된 사람들은 예비군 훈련에 참가하지 않으면 벌금이 부과된다. 예비군 의무복무기간은 8년이며 예비군 훈련은 연간 수회에 걸쳐 실시된다. 벌금은 관할 구역에 따라 다르지만 최초 위반 시 평균 20만원(166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다음 번 위반 시에는 매번10만~30만원(83~249달러)씩 증액된다. 법정 벌금 상한선은 위반 건당 200만원(1,660달러)이다. 법원은 상습적 위반자들에게 벌금을 부과하는 대신 징역형이나 집행유예를 선고할 수 있다.
워치타워인터내셔널은 1990년 이후 법원이 예비군 훈련에 참가하지 않은 양심적 병역거부자 20명에게 징역형이나 집행유예를 선고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여호와의 증인 신도 60명이 양심적 병역 거부와 관련된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Section II. Status of Government Respect for Religious Freedom
Legal/Policy Framework
The law requires military service for virtually all male citizens between the ages of 20 and 30. Military service lasts between 24 and 27 months, depending on the branch of service. During the year, the military service period was reduced to between 21 and 24 months. However, the law does not allow for conscientious objectors, who can receive a maximum three-year prison sentence for refraining from service. Conscientious objectors who are sentenced to more than one year and six months in prison are exempt from further military service and reserve duty obligations and are not subject to further fines or other punishment.
Government Practices
Most conscientious objectors were sentenced to one year and six months in prison. Watchtower International, a Jehovah’s Witnesses organization, reported that as of the end of the year there were approximately 761 members of the Jehovah’s Witnesses serving an average of 18 months in prison for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t the end of 2010, there were approximately 903 members in prison. During the year, the number of imprisoned conscientious objectors peaked in January at 846 and dropped to 732 in June. This number rose sharply since 2009 when approximately 400-500 conscientious objectors were in prison. Watchtower attributed the rise in the number of those imprisoned to the decision that was made by a number of conscientious objectors to delay their prison terms in hopes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would introduce an alternative service system for conscientious objectors. Late in 2009, the MND decided not to pursue the introduction of an alternative service system for conscientious objectors.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decision, the number of conscientious objectors in pris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atchtower International reported that as of the end of the year, there were 155 conscientious objector cases on appeal in the Supreme Court and 15 cases b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two of which involved reservists. The last relevant constitutional court rulings, one in 2004 and another issued during the reporting period, upheld the law. In 2004, the Constitutional Court upheld the Military Service Act as constitutional. During the reporting period, the court found both the Military Service Act and the Homeland Reserve Forces Act to be constitutional.
Persons who complete their military service obligation and subsequently become conscientious objectors are subject to fines for not participating in mandatory reserve duty exercises. Reserve duty obligation lasts for eight years, and there are several reserve duty exercises per year. The fine varies depending on jurisdiction, but typically individuals are fined an average of 200,000 Korean won (KRW) ($166) for the first conviction. Fines are increased by 100,000 – 300,000 KRW ($83-249) for each subsequent conviction. The law puts a ceiling on the fine at two million KRW ($1,660) per conviction. Courts have the option, instead of levying fines, to sentence individuals deemed to be habitual offenders to prison
terms or suspended prison terms.
Watchtower reported that since 1990, courts have sentenced 20 conscientious objectors to prison terms or suspended prison terms for failing to participate in reserve duty exercises. An additional 60 Jehovah’s Witnesses were in litigation related to being conscientious obj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