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컨퍼런스] 양심적 병역거부, 진단과 모색
전쟁없는세상 20주년 국제회의 ‘양심적 병역거부 진단과 모색’ 대체복무를 돌아보며: 문제점과 개선점 일시: 2023년 11월 18일(토) 오후 2시~6시 장소: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공동주최: 전쟁없는세상, 장혜영 의원실, 참여연대,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 Connection e.V. 아시아의 병역거부 일시: 2023년 11월 19일(일) 오후 1시~3시 장소: 참여연대 2층 [...]
전쟁없는세상 20주년 국제회의 ‘양심적 병역거부 진단과 모색’ 대체복무를 돌아보며: 문제점과 개선점 일시: 2023년 11월 18일(토) 오후 2시~6시 장소: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공동주최: 전쟁없는세상, 장혜영 의원실, 참여연대,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 Connection e.V. 아시아의 병역거부 일시: 2023년 11월 19일(일) 오후 1시~3시 장소: 참여연대 2층 [...]
우리는 과연 양심을 판단할 수 있을까? 이 용 석 들어가며 2006년 8월 17일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피고인을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는 판사의 말을 나는 피고인석에서 들었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판사가 뭐라고 말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내가 실형 1년 6개월 선고 받았으니 판사가 저렇게 [...]
『내일을여는 역사』2020년 겨울호는《내일을 여는 ‘선언’ 19 : 우리 시대 표상된 가치들과 그 역사》라는 제목의 ‘특집’을 기획했다. 한국현대사에서 내일을 열기 위해 시대와 불화한 선언을 검토한 것이다. 19편의 글을 하나의 목표 아래 모으는 큰 모험이었다. 1945년 이후 발표된 선언문을 대상으로 [...]
진행자를 위한 평화배움 교안 병역거부, 배움의 공간에서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피스모모 × 전쟁없는세상 <목차> I. 시작하는 말 · 4 II. 병역거부 A to Z · 7 1. 양심의 자유와 병역거부 ・ 7 ・ 양심이란 무엇인가 [...]
2019년 12월 21일 연세대에서 열린 난민x현장 티치인에서 발표한 '병역거부 운동: 누구의 위치에서 어떤 평화를 말할 것인가'의 발표문을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 병역거부 운동의 교차적 특성 2. 한국 병역거부 운동의 역사와 현재 상황 3. 병역거부와 [...]
한국 인권 근현대사4-인권운동사: 병역거부 운동의 역사 *이 원고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발간한 「대한민국 인권 근현대사」 원고입니다 <목차> 1. 2000년대 이전의 병역거부 Ⅰ. 병역거부, 아주 오래된 평화운동 Ⅱ. 한국의 병역거부자들: 일제시대부터 유신시대까지 Ⅲ. 군인들의 양심선언: 1980년대~1990년대 초반 군인들의 양심선언 2. 병역거부운동, [...]
2019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by the Special Rapporteur 2019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by the Special Rapporteur
국회 토론회 인권친화적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도입 2019년 10월 2일(수)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 주최 : 국가인권위원회 주관 : 국회의원 도종환, 국회의원 전해철,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군인권센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전쟁없는세상, 참여연대 2018년 6월,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국회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
| 교사를 위한 평화배움 교안 호국보훈의 달, 배움의 공간에서 전쟁을 어떻게 다르게 기억하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피스모모 × 전쟁없는세상 <목차> I. 시작하는 말 4p II. 여는 활동 7p III. 활동 목록 1. 역할극: 간단한 역할극을 통해 전쟁을 간접 경험해보기 [...]
합리적인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도입 방향 2018년 11월 7일(수)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815-1간담회실 (8층) 지난 6월 28일 헌법재판소는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를 허용하지 않는 병역법에 대한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고, 이에 따라 2019년 12월 31일까지 국회는 대체복무 입법을 완료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