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미 국무부 국가별 인권보고서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4 (U.S. Department of State)
2015년 6월 25일
대한민국
대한민국 2014 년 인권보고서
REPUBLIC OF KOREA 2014 HUMAN RIGHTS REPORT
정치범
법무부는 현재 단지 정치적인 신념만을 이유로 구금되어 있는 사람은 없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들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양심적 병역거부, 쟁의행위를 이유로 체포된 시민들을 정치범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법에 따라 모든 성인 남성은 병역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와 병역 기피자는 법률상 구분이 되지 않는다. 병역 의무 위반자 혹은 거부자는 최고 3 년의 징역에 처해진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에 대한 대체복무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국방부는 7 월 현재 건강이나 신체 장애 혹은 그 밖의 사유로 4,050 명이 병역 면제 판정을 받았다고 보고했다. 앰네스티인터내셔널은 9 월 현재 양심적 병역거부를 이유로 680 명이 수감 중이라고 보고했다. 비정부기구인 워치타워는 9 월 현재 여호와의 증인 신자 30,576 명이 수감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7 월 현재 336 명이 병역거부로 유죄 판결을 받고 18 개월 형을 선고받았다고 보고했다. 당해 연도 중에 종교적인 이유가 아닌 정치 혹은 윤리적인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여 처벌을 받은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숫자는 증가했다. 한 비정부기구는 캐나다, 프랑스, 호주 정부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정치적 망명을 허용했다고 보고했으며 1 월 중에 호주에서 그러한 사례가 1 건 기록됐다.
Political Prisoners and Detainees
The Ministry of Justice stated there were no persons incarcerated solely because of their political beliefs. Some NGOs, however, argued that individuals arrested for violations of the NSL, for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or for strike activities qualified as political prisoners.
The law requires military service by all male citizens and does not distinguish conscientious objectors from others who do not report for duty; the penalty for failing or refusing to report is up to three years in prison. There is no provision for alternative service by conscientious objector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orted granting 4,050 exemptions for health, disability, or other reasons as of July. Amnesty International reported there were 680 persons in prison for conscientious objection as of September. The NGO Watchtower stated that as of September 30, 576 Jehovah’s Witnesses were in prison. The government reported that, as of July, 336 persons were convicted for failing to report for military service and were sentenced to 18 months in prison. During the year an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s prosecuted for failure to meet their mandatory military service requirements claimed conscientious objector status on political or moral, not religious, grounds. One NGO reported Canada, France, and Australia granted political asylum to Korean conscientious objectors seeking exemption from military service, including a January case in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