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에 바란다] 대체복무, 현역과의 형평성을 핑계 삼은 처벌의 덫을 넘어야
김형수(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 예비군 훈련 거부자) 대체복무 도입이란 진전, 여전히 과거에 발목 잡힌 현실 올해 10월이면 대체복무제가 시행된다. 헌법재판소가 2018년 대체복무를 배제한 병역법의 병역종류 조항이 헌법에 불합치 하다는 결정을 한 이후로, 대체복무가 도입되는 진전이 [...]
[21대 국회에 바란다] 군사안보 이제는 그만, 군사비축소에 국회가 앞장서야
뭉치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재난이 일깨워준 안보에 대한 새로운 감각 코로나 19 시대를 살며 새삼 놀랐던 사실은 사람들이 정말 촘촘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한 지역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는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누군가가 가지고 있던 [...]
운동의설계도 모델로 본 한국 의료용대마 합법화운동, 그 세번째 이야기
강성석 목사 (한국의료대마운동본부 대표) 운동의설계도 이론은 사회변화를 위한 운동 및 캠페인에서 단체와 활동가들을 4가지 역할로 분석한다. 시민 (대중 지향) 의료용 대마 합법화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마’에 대한 사회적인식, 국민정서를 인정해야 했다. 자극적인 언론기사로 인해 한국에서 [...]
‘착한’ 당신이 없어도 할 수 있는 채식
날맹 (인권교육센터 들 활동가, 병역거부자) “세상에 재밌는 게 고기 말고도 얼마나 많은데요”라고 말하지 못했습니다 한번은 교육 요청을 받아 간 곳에서 점심을 먹다가 채식을 언제 어떻게 하게 됐는지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돌이켜보면 그날 구내식당 [...]
운동의설계도 모델로 본 한국 의료용대마 합법화운동, 그 두번째 이야기
강성석 목사(한국의료대마운동본부 대표) 5단계 : 실패의 자각 2018년 1월 5일, 더불어민주당의 신창현 의원을 비롯한 11명의 국회의원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논의되기까지는 8개월이 걸렸다. 대표 발의한 의원실이 보건복지위가 아닌 타 상임위 [...]
자격 없는 이들의 주제넘은 도전 – 그런 난민, 병역거부자, 트랜스젠더는 없다
시우(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국민과 난민 사이에서 2016년 5월, 전쟁없는세상에서 진행한 예비 병역거부자 모임에 참여한 적이 있다. 학교를 졸업한 이후 학업을 이유로 병역 연기가 어려워진 시점에 외국에서 난민 지위를 인정받는 방법을 고민하던 때였다. 병역거부를 이유로 [...]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의 필독서 – <21세기시민혁명>을 읽고
오리 (전쟁없는세상, Jungmin.duck@gmail.com) 1989년 8월 15일, 대학생 임수경씨와 천주교 사제인 문규현 신부는 손을 잡고 나란히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분단 이후 최초로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에서 남으로 온 민간인이었다. 임수경씨는 평양세계청년학생축전에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대표로 참가하기 위해 [...]
운동의설계도 모델로 본 한국 의료용대마 합법화운동, 그 첫번째 이야기
강성석 목사 (한국의료용대마합법화운동본부 대표) 전국귀농운동본부(1996) 호주제폐지운동본부(1999) 에 이어 한국 3대 운동본부에 ‘한국의료대마운동본부’가 선정이 되었다는 농담을 종종 하곤 한다. 운동본부는 2017년 6월 29일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513일의 법개정운동을 통해 2018년 11월 23일 제364회 제12차 국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