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유엔 자유권규약위원회(Human Rights Committee)의 대한민국 3차 정부보고서에 대한 검토 및 최종견해

 

자유권규약위원회
제88차 회기
2006년 10월 16일-11월 3일 제네바

 

CCPR/C/KOR/CO/3/CRP.1
31 October 2006

 

CCPR.C.KOR.CO.3.CRP.1_20061031

 

CCPR.C.KOR.CO.3.CRP.1_20061031_kor

 

 

17. 위원회는 (a) 2003년 병역법 개정으로 현역 복무 거부로 인한 처벌이 최대 3년 징역형을 받고 있고,  그들이 재소집될 수 있고 새로운 처벌을 받게 되는 횟수에 대하여 입법적으로 제한이 전혀 없으며; (b) 병역의무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사람들은 정부나 공공기관의 고용에서 배제되며; (c) 유죄를 선고받은 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들이 전과자로 낙인됨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들에 대해 우려한다 (제18조)
당사국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가 병역의무에서 면제되는 것을 인정하는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규약 제18조에 일치하는 입법을 제정할 것을 장려한다. 이 점에서, 위원회는 사상, 양심과 종교의 자유에 대한 권리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논평 22의 11항(General Comment 22, para.11)에 당사국의 주의를 환기하고자 한다.

 

 

17.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a) under the Military Service Act of 2003 the penalty for refusal of active military service is imprisonment for a maximum of three years and that there is no legislative limit on the number of times they may be recalled and subjected to fresh penalties; (b) those who have not satisfied military service requirements are precluded from employment by government or public organisations and that (c) convicted conscientious objectors bear the stigma of a criminal record (art.18).
The State party should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recognize the right of conscientious objectors to be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It is encouraged to bring legislation into line with Article 18 of the Covenant. In this regard, the Committee draws the attention of the State party to its General Comment 22 para.11 on the right to freedom of thought, conscience and reli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