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시대, 저항의 자리
시우(병역거부자) 전쟁없는세상 주: 지난해 6월 28일 헌법재판소는 병역법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결정으로 대체복무 도입이 기정 사실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병역거부자들의 재판이 끝난 것은 아닙니다. 헌재 결정 이전 병역거부를 한 이들은 여전히 재판에서 [...]
비폭력 트레이닝 더 깊게 살펴보기 – 트레이너를 위한 트레이닝 후기
글: 앤드류 Andrew Metheven (War Resisters’ International) 번역: 오리 (전쟁없는세상) 전쟁없는세상 주: 전쟁없는세상이 운영하는 비폭력트레이너 네트워크 망치에서는 해마다 트레이너를 위한 트레이닝을 진행합니다. 2018년에는 마찬가지로 비폭력 트레이너 네트워크인 '변화의 물결 Turning the Tide'의 트레이너이자, 한국 병역거부운동의 오랜 [...]
평화와 교육이 만나 게임이 될 수 있을까? – <10대, 평화를 디자인하다> 서평
하늬(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 피스모모 활동가) 도대체 ‘세계평화게임’이란 어떤 게임일까? 어떤 게임이기에 그 게임의 여정을 담은 책의 제목이 <10대, 평화를 디자인하다>일까? 평화를 게임으로 아는 것이 가능한 걸까? 게임을 통해서 평화를 ‘디자인’한다는 것이 가능한 걸까? 과연 여기에서 말하는 [...]
합리적이고 인권기준에 맞는 대체복무, 남성 모두에게 좋은 제도
이용석(병역거부팀) 보통 병역거부자들이 구치소나 교도소 한 곳에서만 지내다 출소하거나 한 번 정도 이감을 가고 나서 출소하는데, 나는 어쩌다보니 1년 6개월 형을 살면서 모두 세 번을 이감을 다니고 네 군데 감옥을 경험했다. 당시에는 ‘아, [...]
좋은 캠페인에는 ‘SMART’가 있다 – 2018 ‘트레이너를 위한 트레이닝’ 후기
열쭝(비폭력트레이너 네트워크 망치) 전쟁없는세상 주: 전쟁없는세상은 비폭력 트레이너 네트워크 망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망치에서는 외부 단체의 트레이닝 요청이 있을 때 트레이닝을 나가기도 하고, 또 늘 효과적인 트레이닝을 위해 공부도 하고 툴을 개발하기도 하고 트레이너들를 [...]
[평화수감자의날 후기] 힘내라, 전쟁없는세상!
고동(병역거부자) 병역거부를 하고 수감생활을 한 지 10여 년이 지난 지금 나는 일상에서 ‘병역거부’, ‘평화’에 대해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고 살아간다. 그저 다른 단체보다 많은 액수의 후원을 하고 연중행사(병역거부자의 날, 평화수감자의 날)에 빠지지 않고 [...]
지금, 여기 사회운동을 위한 전략 – 2018 평화캠프&트레이너를 위한 트레이닝을 마치고
오리(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우리는 어떻게, 왜 비폭력 트레이닝을 시작했나 전쟁없는세상은 효과적이고 창의적이며 민주적인 사회운동을 확산시키고자, 참여형 워크숍 형태의 비폭력 트레이닝을 2012년부터 진행해왔다. 첫해에는 내부 트레이너 역량 강화를 위한 트레이닝에 집중했고, 이후에는 정기적인 내부 트레이닝과 [...]
신성한 국방의 의무라는 거짓된 신화 -1950년대 한국소설에서 나타나는 병역기피의 양상
허윤(연세대 젠더연구소) 저자 주: 이 글은 허윤, 〈1950년대 퀴어 장과 병역법 경범법을 통한 ‘성 통제’〉, 《‘성’스러운 국민》, 서해문집, 2017;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역락, 2018을 토대로 작성되었다. 병역을 기피하는 청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