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아빠를 그 자체로 다독여주었더라면 – 대체복무 심사에서 부모님 진술서를 보며 드는 생각
나동혁(병역거부자)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오는 10월이면 대체복무가 시작된다. ‘드디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다.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가 사회이슈로 떠오른지 물경 20년의 세월이 흘렀기 때문이다. 처음 도입된 제도인 만큼 우려가 많은 것도 사실이고, 개선해야 할 사항도 [...]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나은 길을 찾으려는 사람들을 위한 책 – ‘How We Win: A Guide to Nonviolent Direct Action Campaigning’을 읽고
오리 (전쟁없는세상, jungmin.duck@gmail.com) 코로나 시대 집콕 프로젝트 3번째로 조지 레이키(George Lakey)의 책 <How We Win: A Guide to Nonviolent Direct Action Campaigning>을 골랐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나의 관심사이기도 하고 4, 5월 서평을 썼던 [...]
베를린 장벽을 무너트린 평화 – 동베를린의 평화운동
안악희(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 징병제폐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베이시스트) 아마 지금의 30~40대는 1980년대 후반을 역사적 대 격변의 시기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일단 한국이 민주화 되어서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되었고 1987년 8월에는 당시 문공부의 조치에 따라 금지곡 187곡에 대한 [...]
혐오가 휩쓸고 간 자리에 남은 것들
신필규 (비온뒤무지개재단 활동가, <큐플래닛> 진행자) 대규모 전염병의 유행과 같은 사회적 재난은 그것이 매우 부정적인 현상인 것과는 별개로 사람들이 공통의 경험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는 모두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하고 마스크를 쓰고 다니며 평소보다 위생에 더욱 신경 [...]
#BLM 시위대를 겨눈 무기, 누가 공급하는가
원문: <Who supplied the weapons used against #BLM protesters?>, WRI 번역: 뭉치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전쟁저항자 인터내셔널 (War Resisters' International)이 지난 6월 11일에 발행한 글을 한국어로 옮깁니다. 지난 5월 25일, 미니애폴리스 경찰관에 [...]
[서평] 나를 구성하는 조각들의 해체와 결합, 그리고 재구성 – 수전 팔루디의 『다크룸』을 읽고
하늬(피스모모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 『다크룸』을 읽어야겠다고 다짐했던 이유는 단 하나,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딸이 어떻게 아버지를 인터뷰하고 끝까지 글을 썼을까에 대한 호기심이었다. ‘수전 팔루디’가 잘 알려진 페미니스트이자 집요함과 치밀함으로 찬사를 받았던 『백래쉬』의 저자이며 [...]
코로나19: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아니다!
글: 신시아 인로 Cynthia Enloe(<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 저자) 번역: 쥬(전쟁없는세상 비폭력팀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신시아 인로는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이론가, 교수로서, 젠더와 군사주의에 관한 작업과 페미니스트 국제 관계 분야의 기여로 알려졌다. 인로 교수는 [...]
인간을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것 – ‘그런 난민, 병역거부자, 트랜스젠더는 없다’ 행사 참여 후기
날맹(전쟁없는세상 후원인) 전쟁없는세상에서 올해 병역거부자의날 행사를 온라인으로 한다는 소식을 처음 듣고선 한편 아쉽고 한편 솔깃했다. 날 좋은 5월에 사람들과 자전거 행진을 하는 재미가 올해는 없겠구나. 그런데 라이브 방송으로 토크쇼를 한다니, “그런 난민, 병역거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