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 photo_2017-06-14_08-05-22

텔아비브는 어떻게 ‘게이 천국’이 되었는가 – 이스라엘이 성소수자 인권을 이용하는 방식, ‘핑크워싱’

새라(팔레스타인평화연대)     점령에 자긍심은 없다 There’s no pride in occupation ‘중동의 퀴어 수도’라 불리는 이스라엘의 최대도시 텔아비브(Tel-Aviv). 매년 열리는 ‘프라이드’를 비롯해 클럽과 해변을 가득 메운 게이들의 모습을 앞세우며 이스라엘은 스스로를 ‘중동에서 유일한 게이 친화적인 [...]

  • DSC_0081

‘병역거부자’와 ‘탈영병’의 경계 허물기- 유럽 병역거부 강연 투어 후기

날맹(병역거부자, 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지난 5월 말, 독일 병역거부 운동 단체 ‘커넥션Connection e.V.’이 조직한 강연 투어를 다녀왔습니다. ‘동아시아 선교회EMS’의 펀딩을 받아 커넥션의 루디Rudi 활동가가 “분단국가에서의 병역거부 운동 그리고 반군사주의antimilitarismus und kriegsdienstverweigerung in einem [...]

  • 33326173020_cc74cbb5a5_z

병역거부 소견서 – 박상욱

박상욱(병역거부자)     1. 미뤄왔던 소견서를 마주하며 오래 전 여호와의 증인 청년의 병역거부 기사를 읽으면서 화가 났다. 종교적 이유로 ‘신성한 병역의 의무’를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단 말인가! 남북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어떤 이유로든 군대를 회피해선 안 [...]

작성자: |2017-07-05|태그: |
  • photo_2017-06-27_18-26-30

[영화평] ‘진짜 연대’는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 <파란나비효과>를 보고

강은주 (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     사드 제3부지 배치를 졸속으로 결정했던 날, 성주 주민들은 군수와 국회의원 등이 빠져나간 자리에서 눈물범벅이 된 채로 외쳤다. “진짜 투쟁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그 장면에서 왈칵 눈물이 났다. 나는 혼자 간 극장 [...]

작성자: |2017-06-29|태그: , |
  • 인권영화제

자본과 결탁한 군사주의가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는 두 가지 방식-2017 서울인권영화제 ‘자본의 톱니’ 세션 후기

가람(평화학+교육학 연구자; 비폭력 트레이너 네트워크 망치)     이라크의 우간다/시에라리온 소년병 출신 용병과 한국의 필리핀 여성 솔직히 말하면, 세션의 제목이 ‘자본의 톱니’라는 걸 영화 두 편을 모두 보고서야 알았다. 아니, 알게 되기 전에 깨달았다. 세션을 [...]

  • freedom

나와 아버지의 집

갱 (페미니스트, 만화평론가)     아이를 임신하면서 내가 상상한 부모의 모습은 '친구'였다. 아이의 의사를 존중해주고, 부드럽게 대화하고, 아이의 고집을 이해해주듯 때로 나의 고집도 장난스럽게 부려 보는, 그런 엄마가 되고 싶었다. 아이가 두 돌을 맞이하는 지금, [...]

  • Taegukgi_Rallies_(Mar_1_2017)

[호국보훈의 달 특집] 국가폭력의 피해자는 왜 국가의 편을 드는가-어떤 참전용사 김영철의 맥락

최현숙( 구술생애사 <할배의 탄생> 저자)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라고 합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날이 있고 현충일이 있습니다. 그래서 6월에는 유난히 애국심, 국가주의 등을 강조하는 일이 많습니다. 전쟁없는세상은 지나친 애국심과 국가주의는 민주주의를 망가뜨리고 평화를 위협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

작성자: |2017-06-21|태그: , , , |
  • meeting-1219540_1280

우리는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까? – 갈등에 반응하는 여러 유형 살펴 보기

아침(비폭력 트레이너 네트워크 망치, 전쟁없는세상 피망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갈등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여러가지로 반응을 하게 된다. 갈등을 모르는 척 하며 피하려 하거나 한쪽 편이 되어 싸우려 하거나 바로 타협점을 찾아 갈등을 무마시키려 [...]

작성자: |2017-06-13|태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