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전쟁을 지탱하는가3] 전쟁이 일어나는 데 보통 사람들의 책임은 없을까?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모두들 평화를 외칩니다. 심지어 서로 전쟁을 일으키는 자(조지 W. 부시)도 평화를 말하고, 당장 전쟁을 치르고 있는 두 세력 모두(히틀러와 루즈벨트, 이승만과 김일성 등) 평화를 외치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세상에는 이렇게 평화를 외치는 이가 많고 전쟁을 외치는 [...]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모두들 평화를 외칩니다. 심지어 서로 전쟁을 일으키는 자(조지 W. 부시)도 평화를 말하고, 당장 전쟁을 치르고 있는 두 세력 모두(히틀러와 루즈벨트, 이승만과 김일성 등) 평화를 외치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세상에는 이렇게 평화를 외치는 이가 많고 전쟁을 외치는 [...]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모두들 평화를 외칩니다. 심지어 서로 전쟁을 일으키는 자(조지 W. 부시)도 평화를 말하고, 당장 전쟁을 치르고 있는 두 세력 모두(히틀러와 루즈벨트, 이승만과 김일성 등) 평화를 외치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세상에는 이렇게 평화를 외치는 이가 많고 전쟁을 [...]
아침(비폭력트레이너네트워크 망치, 전쟁없는세상 피망팀) 활동가들은 재능이나 기술습득 여부와 상관없이 회의 진행부터 기자회견이나 집회의 사회를 맡게 되는 경우가 많다. 토론자로 섭외 받거나 토론회의 진행자가 되거나 발표회나 보고회 뿐만 아니라 따로 정해진 틀이 없는 행사의 진행을 맡을 수도 있다. 강의를 받거나 [...]
이용석(전쟁없는세상) 전쟁없는세상 주: 모두들 평화를 외칩니다. 심지어 서로 전쟁을 일으키는 자(조지 W. 부시)도 평화를 말하고, 당장 전쟁을 치르고 있는 두 세력 모두(히틀러와 루즈벨트, 이승만과 김일성 등) 평화를 외치는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세상에는 이렇게 평화를 외치는 이가 많고 전쟁을 외치는 [...]
임윤경 (평택평화센터 사무국장) 평택에는 미군기지가 두 곳이 있다. 평택에 주둔하는 미군만 해도(가족, 군무원 포함) 대략 46,000여명. 평택시민 10명에 1명이 미군인 셈이다. 평택시민은 70여 년 동안 미군 항공기로 인한 군소음, 생물무기실험, 하수처리문제, 환경오염문제 등 꾸준히 미군기지로 인한 사건사고에 노출되어 왔다. 평택시민 [...]
배보람 (전 녹색연합 활동가, <미세먼지 클리어> 공저자) 몇 년 전 여름, 오래된 다가구 주택 꼭대기 층에 에어컨 없이 살던 나는 정말 죽겠다 싶었다.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 까페에서 최대한 버틸 만큼 버티다 들어온 새벽 한 시의 집 온도는 30도를 우습게 넘겨버렸다. [...]
박상욱(병역거부자) 난민과 관련된 또 한 권의 책이 출간되었다. 2018년 500여 명의 예멘 난민이 제주도에 도착한 이후, 먼 대륙의 일처럼 보였던 난민 문제는 비로소 한국 사회에 진입했다. 그 영향이 반영되듯 난민을 주제로 한 책들 역시 이 시기를 기점으로 활발히 [...]
나동혁(병역거부자)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오는 10월이면 대체복무가 시작된다. ‘드디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다.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가 사회이슈로 떠오른지 물경 20년의 세월이 흘렀기 때문이다. 처음 도입된 제도인 만큼 우려가 많은 것도 사실이고, 개선해야 할 사항도 여럿 보인다. 무엇보다 이 제도가 [...]
오리 (전쟁없는세상, jungmin.duck@gmail.com) 코로나 시대 집콕 프로젝트 3번째로 조지 레이키(George Lakey)의 책 <How We Win: A Guide to Nonviolent Direct Action Campaigning>을 골랐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나의 관심사이기도 하고 4, 5월 서평을 썼던 두 책과 이어지는 내용이라 영어지만 [...]
안악희(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 징병제폐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베이시스트) 아마 지금의 30~40대는 1980년대 후반을 역사적 대 격변의 시기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일단 한국이 민주화 되어서 대통령 직선제가 도입되었고 1987년 8월에는 당시 문공부의 조치에 따라 금지곡 187곡에 대한 금지가 풀리는 등 각종 검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