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인권 올리고, 차별 내리고”, 인권올리고가이드 발표
2016년 3월 22일, 20대 총선을 한달 여 앞두고 인권단체들이 인권올리고 가이드를 발표하며 "인권 올리고, 차별 내리고"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인권올리고 가이드에는 선거로만 모아지지 않는 밀려나고 사라져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들, 선거가 하지 않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우리가 엮어낸 이 이야기들이 모여 선거가 끝이 아닌 [...]
2016년 3월 22일, 20대 총선을 한달 여 앞두고 인권단체들이 인권올리고 가이드를 발표하며 "인권 올리고, 차별 내리고"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인권올리고 가이드에는 선거로만 모아지지 않는 밀려나고 사라져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들, 선거가 하지 않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우리가 엮어낸 이 이야기들이 모여 선거가 끝이 아닌 [...]
오늘(3/9) 유엔 자유권 심의 대응 한국 NGO 모임(84개 단체, 이하 NGO 모임)는 김현웅 법무부 장관에게 2015년 11월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위원회 심의에서 받은 권고의 이행계획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발송했습니다. NGO 모임은 자유권 위원회 최종견해 중 우선순위 권고인 ▷성적지향 및 성별정체성을 근거로 한 [...]
국제앰네스티, 전쟁없는세상,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War Resisters’ International), 커넥션(Connection e.V,)이 12월 1일(화) 국방부 앞에서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캠페인 결과보고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4개 단체는 올해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의 날인 5월 15일을 시작으로 약 6개월 동안 전 세계에 한국의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의 인권상황을 알리는 캠페인과 [...]
2015년 11월 5일(제네바 현지 시간) 유엔 시민적 정치적 권리규약 위원회(UN Human Rights Committee, 이하 자유권 위원회)가 대한민국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 전반을 심의한 후 내리는 최종 권고문(concluding observation)을 발표했다. 자유권 위원회는 권고문에서 1) 성소수자들에 대한 차별 철폐 2) 양심적 병역거부자 전원 [...]
방위산업전시회, 전쟁 장사를 멈춰라! 한국 정부는 ‘전쟁산업’ 진흥 정책 폐기하라 오늘(10/19) 환영 리셉션을 시작으로 <201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Seoul ADEX>가 약 일주일간 개최된다. 모두가 첨단무기의 성능에 환호하는 지금, 우리는 그 무기가 실제로 사용되는 곳의 비인도적인 풍경에 주목하며 [...]
터키 내 50여개 시민단체, 한국으로 최루탄 수출 중단 호소 “최루탄은 화학무기이자 고문의 도구, 죽음과 폭력 대신 연대를 보내달라” 한국은 현재 터키의 최대 최루탄 공급국입니다. 2013년부터 2015년 8월까지 한국에서 해외로 수출된 최루탄의 양은 약 5백만 발에 달하며, 이중 3/4 가량인380만발이 [...]
[삼성물산 앞 '피흘리는 구럼비' 퍼포먼스 판결에 즈음한 기자회견] 제주해군기지 건설 시공사 삼성의 불법 행위를 끝까지 알려나갈 것이다 - 벌써 3년도 더 지난 사건에 대한 사법부의 판결은 끝났지만, 강정 마을의 평화와 환경을 파괴한 삼성의 불법 행위에 대한 책임을 끝까지 알려나갈 것 [...]
제주해군기지 반대 3,000일, 평화를 위한 저항 멈추지 않을 것 파괴된 강정마을 공동체는 누가 책임지고 배상할 것인가 절차적, 환경적, 인권적, 안보적 문제점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강정마을 주민들이 부당한 제주해군기지에 맞서 평화롭게 저항해 온 지 오늘로 3000일째를 맞았다. 2007년 강정 주민들의 의사를 [...]
오늘(7/28) 29개 평화·국제개발·시민사회단체들은 국회 정문 앞에서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되어 있는 「국군의 해외파견활동 참여에 관한 법률안」 (송영근 의원 대표발의, 이하 ‘해외파병법안’) 의 폐기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습니다. 기자회견을 공동주최한 단체들은 해외파병법안이 다국적군 파병, 상업적 목적의 파병 등 국군 해외파견의 범위를 대폭 [...]
오늘 헌법재판소는 병역법 제88조 제1항 제1호 위헌소원에 대한 공개변론을 엽니다. 병역거부자를 처벌하는 병역법 조항에 대해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친 합헌결정이 있었습니다. 2011년 합헌결정 이후로 2천여 명, 헌법재판소가 첫 번째 결정을 내렸던 2004년 이후로는 6천여 명, 대한민국 건국 이후로 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