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명] 헌법재판소인가 안보재판소인가 – 인권을 저버린 병역거부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 규탄한다

헌법재판소인가 안보재판소인가 - 인권을 저버린 병역거부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규탄한다   2011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는 병역법 제88조 제1항 제1호와 향토예비군설치법 제15조 제8항 대해 7대 2로 합헌 결정을 내렸다. 2004년 결정이후 7년 만의 결정이다. 병역거부자의 인권을 지켜달라는 7년 동안의 외침은 결국 외면당했다. 7년 [...]

2011-08-30|카테고리: 뉴스|

[보도자료] 병역거부자들, 국회에 소송을 제기하다 유엔에서도 권리구제를 권고했지만, 대한민국은 묵묵부답 – 대체복무제 입법부작위 위헌확인 소송 제기 기자회견

병역거부자들, 국회에 소송을 제기하다 유엔에서도 권리구제를 권고했지만, 대한민국은 묵묵부답 - 대체복무제 입법부작위 위헌확인 소송 제기 기자회견   1. 평화의 인사를 드립니다. 2.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는 2002년 2월 소수자 인권문제로 부각되고 있던 병역거부자들의 인권신장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해 36개 [...]

2011-05-16|카테고리: 뉴스|

대체복무제 입법부작위 위헌확인소송 제기돼

그동안 한국에서는 병역거부자들을 예외없이 처벌해왔습니다. 병역거부문제가 사회적으로 공론화되기 전까지는 법정 최고형을 선고받았고, 반복처벌뿐만 아니라 군대 내에서 구타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2001년 이후 재징집되지 않을 최소형량인 1년 6월을 선고받게 되었지만, 병역거부자들이 택할 수 있는 길은 여전히 감옥밖에 없는 게 현실입니다. 그래서 병역거부자들은 개인청원((Individual [...]

2011-05-16|카테고리: 뉴스|태그: , , , , |

[성명서] 초토화되는 것은 북의 해안포가 아니라 누군가의 ‘삶’ 혹은 우리의 ‘인간성’이다

지난 23일 우리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민간인과 군인의 안타까운 죽음을 목격했다. 이들의 죽음으로 많은 이들이 마음 아파했고, 또 분노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의 삶이 얼마만큼 소중한지 알기 때문에 마음 아팠고, 그런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무력행위에 대해 분노했다. 그리고 자칫 잘못하다가는 더 많은 목숨을 [...]

2010-11-30|카테고리: 뉴스|태그: , |

“평화와 공존을 위한 선택”, 사회당 당원 이태준 병역거부선언

  한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병역거부자가 수감되어 있는 나라입니다. 정부가 국민적 공감대 핑계로 대체복무제도 도입 약속을 뒤집은 이후 젊은이들의 감옥행은 계속되어, 현재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는 약 750여명 정도 됩니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책임을 회피한 채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어 [...]

2010-11-09|카테고리: 뉴스|태그: , , , |

[성명] 신영철 대법관의 선택, 헌재 그리고 이길준

신영철 대법관의 선택, 헌재 그리고 이길준   지난 주 병역거부와 관련하여 주목할만한 법원 결정이 2건 있었다.   26일(목), 촛불집회 관련 재판에 외압을 행사한 것으로 유명세를 탄 신영철 대법관은 그 앞으로 배당된 예비군 병역거부 사건 4건에 대해 상고기각 판결을 내렸다. 현재 대법원에는 신영철 [...]

2009-11-30|카테고리: 뉴스|

기독교신자 하동기 병역거부선언

  정부는 2007년 9월에 병역거부자들을 위한 대체복무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작년 말 연구용역 결과 중 극히 일부인 여론조사를 이유로 대체복무제 도입을 무기한 보류한 상태입니다. 그로 인해 병역거부 수감자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현재 450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계속 감옥에 가고있는 상황이지만 정부는 [...]

2009-07-13|카테고리: 뉴스|태그: , , , |

[보도자료] “파병국가의 군인이 될 수는 없습니다” – 은국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선언 기자회견

"파병국가의 군인이 될 수는 없습니다" - 은국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선언 기자회견   1. 평화의 인사를 드립니다. 2. 현재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는 약 450여명 정도 됩니다. 해방 후 반세기가 넘는 시간동안 1만 3천명에 달하는 이들이 병역거부를 이유로 감옥에 가야 했고, [...]

2009-02-19|카테고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