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없는세상

관하여 전쟁없는세상

전쟁없는세상은 "모든 전쟁은 인간성을 파괴하는 범죄"라는 신념을 공유하고 있는 평화주의, 반군사주의자들의 네트워크로 2003년 구성되어 전쟁에 저항하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main

[서평] 나를 구성하는 조각들의 해체와 결합, 그리고 재구성 – 수전 팔루디의 『다크룸』을 읽고

하늬(피스모모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     『다크룸』을 읽어야겠다고 다짐했던 이유는 단 하나,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딸이 어떻게 아버지를 인터뷰하고 끝까지 글을 썼을까에 대한 호기심이었다. ‘수전 팔루디’가 잘 알려진 페미니스트이자 집요함과 치밀함으로 찬사를 받았던 『백래쉬』의 저자이며 인터뷰의 대상이었던 아버지가 ‘트랜스젠더’라는 부분이 [...]

2020-06-11|카테고리: 블로그|
  • photo_2020-03-11_09-17-27

코로나19: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아니다!

글: 신시아 인로 Cynthia Enloe(<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 저자) 번역: 쥬(전쟁없는세상 비폭력팀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신시아 인로는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이론가, 교수로서, 젠더와 군사주의에 관한 작업과 페미니스트 국제 관계 분야의 기여로 알려졌다. 인로 교수는 WILPF 학술 네트워크의 구성원이다. 국내에는 [...]

[AFMP 스터디가이드] 폴란드-“우리는 신의 손을 붙잡았다”

https://youtu.be/SKhjpBRHtnE 1980년 8월, 그단스크 조선소의 노동자들은 파업에 들어갔다. 레흐 바웬사는 노동자들의 수석 협상가로서 엄격한 비폭력 규율을 유지하고 당국의 폭력적인 단속을 막기 위해 조선소를 점거함으로써 이전의 파업의 실수를 피했다. 파업은 전국에 빠르게 확산되었고 "Solidarity"라는 새로운 노조가 탄생했다. 정부는 1989년까지 지하에서 활동을 [...]

2020-06-05|카테고리: 비폭력 프로그램 자료|태그: , , |
  • 333333

인간을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것 – ‘그런 난민, 병역거부자, 트랜스젠더는 없다’ 행사 참여 후기

날맹(전쟁없는세상 후원인)     전쟁없는세상에서 올해 병역거부자의날 행사를 온라인으로 한다는 소식을 처음 듣고선 한편 아쉽고 한편 솔깃했다. 날 좋은 5월에 사람들과 자전거 행진을 하는 재미가 올해는 없겠구나. 그런데 라이브 방송으로 토크쇼를 한다니, “그런 난민, 병역거부자, 트랜스젠더는 없다”라는 제목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

  • 20170513 병역거부자의날 자전거행진 40

[21대 국회에 바란다] 대체복무, 현역과의 형평성을 핑계 삼은 처벌의 덫을 넘어야

김형수(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 예비군 훈련 거부자)   대체복무 도입이란 진전, 여전히 과거에 발목 잡힌 현실 올해 10월이면 대체복무제가 시행된다. 헌법재판소가 2018년 대체복무를 배제한 병역법의 병역종류 조항이 헌법에 불합치 하다는 결정을 한 이후로, 대체복무가 도입되는 진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대체복무를 도입하는 과정은 [...]

2020-06-03|카테고리: 블로그|태그: , |
  • First Phase Digital

[21대 국회에 바란다] 군사안보 이제는 그만, 군사비축소에 국회가 앞장서야

뭉치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재난이 일깨워준 안보에 대한 새로운 감각 코로나 19 시대를 살며 새삼 놀랐던 사실은 사람들이 정말 촘촘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한 지역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는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누군가가 가지고 있던 바이러스가 2차, 3차를 넘어 5차, [...]

2020-06-02|카테고리: 블로그|태그: , |
  • noname01.jpg

운동의설계도 모델로 본 한국 의료용대마 합법화운동, 그 세번째 이야기

강성석 목사 (한국의료대마운동본부 대표) 운동의설계도 이론은 사회변화를 위한 운동 및 캠페인에서 단체와 활동가들을 4가지 역할로 분석한다. 시민 (대중 지향) 의료용 대마 합법화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마’에 대한 사회적인식, 국민정서를 인정해야 했다. 자극적인 언론기사로 인해 한국에서 대마사범은 ‘살인죄’ 이상의 낙인이 찍히게 [...]

병역거부 소견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전쟁을 거부한다는 외침과 실천 하나로 한국에서만 수십 년 동안 ‘병역법’ 위반이라는 이유로 징역 생활을 감수해왔다. 전쟁을 위한 군사훈련과 집총으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폭력으로 억압하고 처벌하는 한국의 형식은 오랜 시간 동안 국제 사회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평화수감자들과 [...]

2020-05-21|카테고리: 평화수감자들의 소식|
  • 무지개색 채소를 손에 들고 있다.

‘착한’ 당신이 없어도 할 수 있는 채식

날맹 (인권교육센터 들 활동가, 병역거부자)   “세상에 재밌는 게 고기 말고도 얼마나 많은데요”라고 말하지 못했습니다 한번은 교육 요청을 받아 간 곳에서 점심을 먹다가 채식을 언제 어떻게 하게 됐는지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돌이켜보면 그날 구내식당 메뉴에 내가 먹을 수 있는 [...]

[AFMP 스터디가이드] 칠레-독재자의 패배

https://www.youtube.com/watch?v=7lXFpnwidik 1983년 칠레 노동자들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장군의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비폭력 시위의 물결을 일으켰다. 1988년 국민투표에서 피노체트를 무찌르기 위해 민주 야당이 조직되기 전까지 격렬한 탄압은 시위를 막지 못했고, 폭력투쟁 역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지 못했다. 첨부하는 스터디가이드에는 이 영상의 시놉시스와 칠레 민주화 [...]

2020-05-19|카테고리: 비폭력 프로그램 자료|태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