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거부 캠페인 자료

2013년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보고서

2013년 6월 3일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에 대한 인권최고대표사무소(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의 분석 보고서 A/HRC/23/22 3 June 2013 A-HRC-23-22_en http://www.ohchr.org/Documents/HRBodies/HRCouncil/RegularSession/Session23/A-HRC-23-22_en.pdf Analytical report on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

2013-07-03|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 아카이브|태그: , |

2011년 미 국무부 세계 종교자유보고서 |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11 (U.S. Department of State)

2011 세계 종교자유 보고서 민주주의, 인권, 노동국 미국 국무부 2012년 7월 30일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1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July 30, 2012 대한민국 (영어) http://photos.state.gov/libraries/korea/49271/June_2012/Int_Religious_freedom_Report_ROK.pdf (한글) http://photos.state.gov/libraries/korea/49271/June_2012/p_Religious_Freedom_Report2012_ROK%20.pdf II. 정부의 종교의 자유 [...]

2013-04-28|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 아카이브|태그: , , |
  • 병역거부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병역거부 가이드북 2012 개정판

병역거부 가이드북 2012년 개정판

병역거부를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병역거부 가이드북 2012 개정판 <차례> 03 | 병역거부 가이드북을 다시 내며 08 |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란 무엇인가? 13 | 병역거부를 고민하는 과정 가족한테 이야기하기 감옥 가는 일을 고민하기 군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기 내 아들이 병역거부를 [...]

2012년 국가인권위원회 ‘공단 직원 채용시 병역거부 경험을 이유로 하는 합격 취소는 차별’ 결정

국가인권위원회 차별시정위원회 결정 사     건  12진정0166200 공단 직원채용시 양심적 병역거부 전력을 이유로 한 합격 취소 진 정 인   김OO 피진정인  ○○○○공단 이사장 주  문 피진정인에게 ○○○○공단 인사규정 제14조 제8호를 개정할 것을 권고한다. 이  유 1. 진정요지 진정인은 진정인은 여호와의 [...]

2012-12-09|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태그: , , |

2012년 국가인권위원회 교도소 내 채식권 보장 권고 결정

국가인권위원회 침해구제제2위원회 결정   사     건  11진정0699000 교도소 수용 채식주의자 권리보장 요구 진 정 인   강OO 피진정인  여주교도소장   주  문 법무부장관에게 채식주의에 관한 개인의 신념이 확고한 수용자에 한하여 합리적 식단의 배려 등 적절한 처우를 할 것을 권고한다 [...]

2012-12-09|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태그: , |

2012년 유엔 인권이사회 2차 UPR(국가별 인권정례검토) 보고서

2012년 유엔 인권이사회 2차 UPR(국가별 인권정례검토) 관련 보고서 유엔 인권이사회 http://www.ohchr.org/EN/HRBodies/UPR/Pages/KRSession14.aspx <한국 정부보고서> 법무부 인권국 http://www.hr.go.kr/HP/COM/bbs_03/ListShowData.do?strNbodCd=noti9013&strWrtNo=41&strAnsNo=A&strRtnURL=HUM_5040&strOrgGbnCd=110000&strFilePath=hum/ NationalReport_2ndUPR_2012_eng NationalReport_2ndUPR_2012_kor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Recommendation 17 and 24) 74. The Government finds it difficult to introduce alternative services for conscientious objectors [...]

2012-12-01|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 아카이브|태그: , , |

2004년 7월 15일 대법원 유죄판결에 대한 WRI 성명 | War Resisters’ International calls for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he rul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is in breach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London, 15 July 2004 War Resisters' International calls for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he rul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is in breach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의 [...]

2012-08-13|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 아카이브|태그: |

2012년 안드레아스 스펙 발표, 병역거부권의 이행 – WRI의 경험 |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 experiences of WRI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 experiences of WRI 병역거부권의 이행 - WRI의 경험   http://www.wri-irg.org/node/14894   Andreas Speck, War Resisters' International 안드레아스 스펙,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WRI)   Presentation in Seoul, 21 March 2012 2012년 3월 21일 서울에서 발표한 내용 [...]

2009년 한국 병역거부 보고서(WRI, 병역거부연대회의 공동발간) | 15th of May: Documentation on Conscientious Objection in South Korea (Published by: War Resisters’ International and Korea Solidarity for Conscientious Objection)

15th of May: Documentation on Conscientious Objection in South Korea 2009년 세계 병역거부자의 날 - 한국 상황 보고서   Published by: War Resisters' International and Korea Solidarity for Conscientious Objection   WRI_CODayDocu-2009   http://www.wri-irg.org/node/7168 한국어 http://www.wri-irg.org/node/7331     Articles 한국의 현 [...]

2012-08-13|카테고리: 병역거부 캠페인 자료, 아카이브|태그: , |

2011,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ASE OF BAYATYAN v. ARMENIA

2011년 7월 7일 유럽인권재판소는 병역거부자를 감옥에 가둔 아르메니아 정부에게 유럽인권협약을 위반했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병역거부권이 유럽인권협약 9조에 규정된 사상, 양심, 종교의 자유에 의해 보호됨을 인정한 것입니다. 유럽인권협약에 의해 병역거부권이 명시적으로(explicitly) 인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판결의 근거 중 유엔 자유권규약위원회가 한국정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