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 subaeja

양심선언과 병역거부운동의 불/연속성 – 「군 민주화 운동가들의 정체화 과정 연구: 1987-1993 군인·전경 양심선언을 중심으로」를 읽고

오리 (전쟁없는세상)   늘 ‘새로운 사회운동’, ‘이전에는 없던 운동’ 이랬던 것 같다. 출발이 좀 그렇기도 했다. 자료라고는 영어밖에 없고 어디 물어볼 데도 없어 영어로 된 자료를 함께 읽으며 번역을 하고 공부를 하는 것으로 병역거부운동을 시작했다. [...]

작성자: |2024-09-19|태그: , , |
  • image

무기로 평화를 지킬 수 있을까?

쥬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가 발간하는 웹진 『파』 5호에 실린 글입니다. 대표 이미지는 모잠비크의 예술가 곤살로 마분다의 작품입니다. “마분다는 내전에 사용됐던 무기로 작품을 제작합니다. 인간과 자연을 파괴하고 폐기된 무기를 해체하고 금속 조각으로 되돌려 예술작품으로 변환하는 [...]

작성자: |2024-09-09|
  • KakaoTalk_20240902_171019541

우리가 탱크에 올라가 악기를 연주하고 피켓을 든 이유 – DX 8 재판 항소심 최후진술문

DX 8 (평화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무기박람회 DX KOREA 2022 저항행동 중 하나로 진행된 전시장 내 퍼포먼스에 참여했다가 업무방해죄로 기소되어 1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DX 8인의 항소심 결심공판이 지난 9월 2일 의정부지방법원에서 열렸습니다. 선고기일은 2024년 10월 [...]

작성자: |2024-09-09|
  • 53932759423_92afacee04_k

[평화캠프 후기] 연결되는 경험을 준 3박 4일 – ‘2024 평화캠프: 기후액션캠프’를 다녀와서

이준태(녹색당원)   사실 이번 평화캠프에 대해서는 공지가 올라오자마자 알고 있었다. 최근까지 녹색당 정책팀에서 활동해오며 군사주의와 국제분쟁 같은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던 나에게 어떤 의미에서 이번 캠프는 가장 관심이 많이 가고 필요한 행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

작성자: |2024-09-05|
  • 53932962850_3041bb24ba_k

[평화캠프 후기] 토마토로 바위 치기 – ‘2024 평화캠프: 기후액션캠프’를 다녀와서

김서연 (청소년기후행동 활동가) 기억에 오래 남을 여름 ‘찜통 속 옥수수가 된 것 같은 더운 날씨. 밤에도 위이이잉 소리를 내며 돌아다니는 정찰기. 갑자기 쏟아지는 비. 마을 바로 옆에 있는 탄약고. 사고 방지를 위한 탄약고의 냉방시설. 평택 험프리스 [...]

작성자: |2024-09-05|
  • Gotjawal_Forest_on_Jeju_Island-0

[평화를 살다] 마음에 귀 기울이기

이지원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활동가)   제주 곶자왈에는 서늘한 바람이 분다. 나무는 울창했고 분출된 용암이 굳어 만들어졌다는 땅은 토양이 적고 단단하게 느껴졌다. 숲해설사가 곶자왈 곳곳에 있는 구덩이를 가리켜 ‘숨골’이라 설명했다. 제주어로 틈이라는 뜻, 자연이 만들어낸 땅굴이라고 [...]

작성자: |2024-09-02|
  • nadong

[평화를 만나다] 단거리 선수가 아니라 마라토너 같은 호흡으로

인터뷰어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인터뷰이 나동혁(우리동네나무그늘 이사장, 병역거부자)   20년 전, 병역거부운동이 한국사회에서 막 시작될 때 병역거부를 한 사람과 대체복무제가 도입된 2024년 병역거부를 하는 사람을 인터뷰하자고 생각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사람은 나동혁이었다. 그를 떠올린 까닭은 [...]

작성자: |2024-08-26|
  • omelas

[평화를 읽다] 전쟁 없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면 마주해야 하는 딜레마들 – 『전쟁 없는 세상을 만들고 싶어』를 읽고

신재욱(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이게 진짜일 리 없어 책에 나오는 하나의 이야기로 시작하자. 책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한 부가 끝날 때마다 ‘함께 고민하고 말하고 싶어’라는 제목 아래 여러 질문을 던진다. 이 이야기는 2부 ‘한국 사회는 [...]

작성자: |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