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주년 5월 행사 – 태국 병역거부자 초청 강연, 무기거래 저항 국제회의, 20주년 특별 액션
전쟁없는세상 20주년을 맞이하여 준비한 여러 행사 가운데 5월 행사를 안내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려요. 참가신청서 링크는 게시글 하단에 있습니다. 5월 15일 초청강연: 태국의 민주주의와 시민저항, 그리고 양심적 병역거부 태국 최초의 병역거부자 네티윗 초티파이산을 초대해서 이야기를 듣습니다. 네티윗은 병역거부자면서 태국 [...]
전쟁없는세상 20주년을 맞이하여 준비한 여러 행사 가운데 5월 행사를 안내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려요. 참가신청서 링크는 게시글 하단에 있습니다. 5월 15일 초청강연: 태국의 민주주의와 시민저항, 그리고 양심적 병역거부 태국 최초의 병역거부자 네티윗 초티파이산을 초대해서 이야기를 듣습니다. 네티윗은 병역거부자면서 태국 [...]
[보도자료] 공항 구금 후 출입국지원센터에 구금된 러시아 난민들, 유엔 특별절차에 개인청원 제출 수신: 언론사 사회부, 국제부 발신: 공익법센터 어필, 전쟁없는세상 담당자 : 이종찬(어필, 010-4622-2145), 이용석(전쟁없는 세상, 010-2878-0851) 5개월간의 공항 구금 후 입국 [...]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답정너' 전쟁, '오답을 부여잡는' 평화 윤석열 대통령이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할 수도 있다는 식의 발언을 한 뒤 후폭풍이 거세다. 러시아는 무기 지원은 분쟁에 개입하는 것이라며 만약 러시아가 북한에 무기를 지원하면 한국은 어떻게 반응하겠냐고 반문하며 강력하게 [...]
수 신 각 언론사 정치부·사회부 발 신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권실현을위한행동하는간호사회,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시민모임 독립, (사)어린이어깨동무, (사)통일맞이,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전쟁없는세상, 참여연대,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피스모모, 한베평화재단 (담당 :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황수영 팀장 02-723-4250 peace@pspd.org) 제 목 [성명] 우크라이나에 [...]
지난 4월 6일 국회 국방위원회는 전체회의를 통해 한기호 의원이 대표 발의한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의결했다. 대체역 심사위 심사위원을 현행 29명에서 13명으로 축소하는 내용이다. 대체복무 시작 초기에는 그동안 누적되어 온 병역거부자들이 많았지만, 3년 가까이 대체역 [...]
오수경(드라마 덕후, 〈드라마의 말들〉저자) 전쟁을 다룬 드라마에 관한 글을 연재해 달라는 부탁을 받은 순간부터 첫 글은 〈여명의 눈동자〉로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문화방송(MBC) 창사 30주년 기념 특집극으로 기획되어 1991년 10월부터 1992년 2월까지 방영된 이 드라마는 “TV 드라마의 신기원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을 [...]
김철기(장항습지 지뢰폭파 피해자, 평화운동가) 다음은 2023년 4월 8일 광주비엔날레에서 열린 ‘세대간 기후범죄 재판소: 멸종 전쟁’ 2일차 한화 그룹과 대한민국 국방부를 상대로 한 증거 재판에서 김철기 님이 증인으로 출석해 증언했던 내용입니다. 김철기님은 한강 하류 장항 습지 정화 작업 도중 지뢰 폭파로 한쪽 다리를 잃은 지뢰 폭파 [...]
뭉치(피스모모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 지난 달 일본 치바에서 열린 무기박람회 DSEI 재팬. 활동가들이 저항운동을 갈무리하며 공유한 영상 속에서 생전 처음 보는 무기가 내 눈길을 끌었다. 각종 살상무기 사이를 활보하며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낯선 무기, 개의 형상을 한 로봇이었다. 네 발로 [...]
수 신 : 언론사 발 신 :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공익인권변론센터, 사단법인 두루, 전쟁없는세상, 천주교인권위원회 제 목 : [보도자료] 수형자 선거권 박탈하는 공직선거법 헌법소원 각하 결정에 대한 논평 발 신 일 : 2023년 3월 31일(금) 문 의 [...]
토란(활동가) 여성은 어디에나 있다. 쉽게 비가시화되고 무시당하고 누락 당할 뿐. 지금껏 우리가 이루어 낸, 실현해나가고 있는 모든 투쟁 현장에는 여성이 있어왔다. 프랑스 혁명 당시, 베르사유 궁전의 문을 연 것은 여성 시위대였다. 남성들이 권력에 기가 눌려 혹은 자기가 가진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