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 8997889494_f

[서평] 저항을 왼 다리 삼고 평화를 오른 다리 삼아 함께 걸어가는 길 – <저항하는 평화>를 읽고

엔틸드(싱어송라이터)     #1. 모두가 경험했지만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던 이야기 평화란 무엇일까? 요즘은 많이 알려진 대답이 하나 있다. “평화로 가는 길은 없다. 평화로 가는 길이 곧 평화다!” 아마도 평화에 대한 다양한 상상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을 더 중요시하는 대답이 [...]

  • 11136182_859294207478650_2720619002408354042_o

[나와 전쟁없는세상] 전쟁없는세상과 함께 꿈꾸는 세상

김중미(기차길옆작은학교 큰이모, 동화작가)   전쟁없는세상 주: 올해는 전쟁없는세상이 태어난 지 15주년 되는 해입니다. 15살 생일을 맞아 이번 주부터 매주 한 편씩 후원인들이 전쟁없는세상과 맺은 인연, 직접 바라본 전쟁없는세상의 활동, 전쟁없는세상을 후원하는 까닭들에 대해 정성스럽게 써주신 글을 블로그에 올릴 예정입니다. [...]

  • 연산호1

‘땅, 불, 바람, 물, 마음’으로 강정 살기 – 오늘도 우리는 감시한다

쵱혱영(강정친구들 사무국장, 강정 연산호 조사팀원)   전쟁없는세상 주: 4월 22일은 지구의 날입니다. 지구의 날을 맞아 군사주의가 지구 환경과 생태계에 끼친 영향을 이야기하는 글을 기획했습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당장 제주 강정마을에 해군기지가 들어서면서 어떤 생태적 변화가 있었을까요? 강정 지킴이로 [...]

  • noname03

[베트남전쟁과 평화운동] 전쟁기념관이 베트남전쟁에 대해 말하지 않은 것

신재욱(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오는 4월 21일~4월 22일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시민평화법정이 열립니다. 전쟁없는세상 또한 시민평화법정 준비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평화시민법정을 맞이해서 전쟁없는세상의 위치에서 바라본 베트남전쟁에 대한 글을 모두 4편 연재하려고 합니다. 세 번째 글 서울 [...]

  • The-Conscientious-Objector-Let-No-Soul-Slay-Another

[베트남전쟁과 평화운동] 병역거부라는 ‘빗금’을 그리다 – 베트남전쟁 시기의 병역거부

우공(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전쟁없는세상 주: 오는 4월 21일~4월 22일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시민평화법정이 열립니다. 전쟁없는세상 또한 시민평화법정 준비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평화시민법정을 맞이해서 전쟁없는세상의 위치에서 바라본 베트남전쟁에 대한 글을 모두 4편 연재하려고 합니다. 두 번째 글에서는 베트남전쟁 당시 [...]

  • 22389914052_ce9915806e_z

[베트남전쟁과 평화운동] 전쟁은 어떻게 돈벌이가 되고 누가 돈을 버는가 – 베트남 전쟁과 한국 기업의 성장

최영진 (지리정치경제학 연구자) 전쟁없는세상 주: 오는 4월 21일~4월 22일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시민평화법정이 열립니다. 전쟁없는세상 또한 시민평화법정 준비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평화시민법정을 맞이해서 전쟁없는세상의 위치에서 바라본 베트남전쟁에 대한 글을 모두 4편 연재하려고 합니다. 첫번째 글은 베트남전쟁 당시 [...]

  • KakaoTalk_20180415_234848572

[서평] 활동가들이 열심히 글을 써야 하는 까닭 – <공부가 되는 글쓰기>를 읽고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대학을 졸업하고선 줄곧 전쟁없는세상에서 활동했는데, 딱 두 번 다른 세계를 경험했다. 병역거부로 감옥생활을 한 일과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한 경험이 그것이다. 다른 세계를 살아보는 건 내가 속해 있던 세계 내부에서는 보지 못한 것을 볼 수 있고, [...]

  • Rosa-Parks-on-the-bus

성공적인 직접행동을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직접행동은 사회운동의 가장 전통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직접행동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을 조직하기 유용하고, 문제점이나 이슈를 널리 알리는데 효과적이며, 창의적인 직접행동은 재미있고 모두에게 영감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직접행동은 무수한 노력과 [...]

  • Seoul-National.Assembly-01

흑역사가 길이 되려면 – 실패한 직접행동, 국회국방위원장실 점거

이용석(전쟁없는세상)   전쟁없는세상 주: 직접행동은 사회운동의 가장 전통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직접행동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을 조직하기 유용하고, 문제점이나 이슈를 널리 알리는데 효과적이며, 창의적인 직접행동은 재미있고 모두에게 영감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직접행동은 무수한 노력과 준비가 [...]

  • K362530557_f

[서평] 혐오사회에서 “그건 혐오예요.”라고 말한다는 것 – <그건 혐오예요>를 읽고

숲이아(퀴어페미니스트, 비건 베이커, 페스코베지테리안)   저자 주: 이 책은 쉽게 쓴 책이 아닌 것 같다. 쓰기 쉽지 않았을 책에 대해 리뷰를 써야 한다니. 잘못 청탁받은 것이 아닐까.(이 글은 숲이아가 '진보적 미디어운동 연구저널 ACT'에 쓴 글입니다. 원글을 보러가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