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거부자, 질문 받는 자에서 질문 하는 자로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오래된 질문과 나만의 모범답안 2000년대 초반 우리 병역거부자들이 주로 받은 질문은 이런 거였다. 만약 강도가 당신 집에 침입해 여동생을 강간하려고 하고 있고, 당신 옆에는 총이 있다. 그 상황에서도 강도에게 총을 쏘지 않을 거냐? 저열하기 이를 데 [...]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오래된 질문과 나만의 모범답안 2000년대 초반 우리 병역거부자들이 주로 받은 질문은 이런 거였다. 만약 강도가 당신 집에 침입해 여동생을 강간하려고 하고 있고, 당신 옆에는 총이 있다. 그 상황에서도 강도에게 총을 쏘지 않을 거냐? 저열하기 이를 데 [...]
5월 15일은 세계 병역거부자의 날로서 전 세계의 평화활동가들과 병역거부자들이 전쟁을 막기 위한 직접행동으로서 병역거부의 권리를 지지하고 병역거부자들에 연대하는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2003년부터 병역거부자의 날에 다양한 행사를 펼쳐왔고, 최근에는 몇 년 동안 헌법재판소에서 국회까지 자전거 행진을 했습니다. 올해에는 헌재 결정 이후의 상황에 [...]
오늘(4/29) 오전 11시, 광화문광장에서 ‘2019 세계군축행동의 날(Global Day of Action on Military Spending, GDAMS)’을 맞아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이번 기자회견은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2018년 세계 군사비 현황 발표에 맞춰 진행되었으며, <평화를 앞당기는 군축>이라는 주제로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전쟁없는세상, 정치하는엄마들, 참여연대, 평화나눔회, 피스모모, 한베평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했습니다. [...]
쭈야(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세계군축행동의 날(GDAMS, Global Day of Action on Military Spending) 캠페인은 2011년에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4월 스웨덴의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세계 군사비 지출 보고서 발표에 맞춰, 전 세계 평화단체들은 군비를 줄이고 평화를 선택하자는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한국의 평화단체들은 4월 [...]
하늬(피스모모 연구기획팀장) 2019 세계군축행동의 날 연속기고 ① 전쟁없는세상 주: 세계군축행동의 날(GDAMS, Global Day of Action on Military Spending) 캠페인은 2011년에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4월 스웨덴의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세계 군사비 지출 보고서 발표에 맞춰, 전 세계 평화단체들은 군비를 줄이고 평화를 선택하자는 캠페인을 [...]
딸기(강정마을 평화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전쟁없는세상은 2019년에 딸기(강정마을 평화활동가), 유민석(철학 연구자), 문아영(피스모모 대표), 은유(작가), 랑(일러스트레이터) 다섯 분을 모시고 한 달에 한 번씩 군사주의, 퀴어, 예술행동, 평화교육, 평화운동을 주제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균열 내가 열심히만 살면 좋은 세상이 될 거라고 막연하게 [...]
열쭝(비폭력 트레이닝 트레이너) 전쟁없는세상 주: 장애인차별철폐의 날 특집 글입니다. 전쟁으로 훼손당한 남성성을 국가가 어떻게 영웅화하는지를 패럴림픽을 통해 바라봄으로써 국가가 바라는 남성성의 성차별주의와 정상신체주의를 분석하는 나영정 선생님의 글 '국가 남성성 훼손을 땜질하는 불/가능한 영웅 : 상이용사에서 패럴림픽 영웅까지'를 읽고 쓴 서평입니다. [...]
전쟁없는세상은 반군사주의와 평화운동의 다양한 주제를 좀 더 심도 깊게 다루기 위해 활동가, 작가, 예술가, 연구자 등 여러 훌륭한 분들을 고정필진으로 모셨습니다. 아래 다섯 분께서 돌아가면서 한 달에 한 번씩 군사주의, 퀴어, 예술행동, 평화교육, 평화운동에 대한 이야기로 여러분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
작은문 게임 시간: 1~2시간 목적: 참가자들에게 불평등한 조건의 경험을 제공하여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이나 다른 억압에 대입해 더 큰 교훈을 추론하게 하기 위해 게임이나 공유된 경험을 통해 공간을 만들기 위해 집단적 도전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물: 테이프 또는 분필 넓은 바닥 공간 [...]
문제 나무 분석법 시간: 1~2시간 목적: 문제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일차적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 분석을 시각화 하기 위해 준비물: 전지, 매직, 포스트잇 진행방법: 이 활동은 참가자들이 더 잘 참여할 수 있도록 소그룹으로 논의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만약 시간이 없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