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과 평화] 디스 워 오브 마인-사라예보 포위전 생존자의 후기
야센코 파쉬츠 Jasenko Pašić(배우, 보스니아 내전 생존자) 번역: 쥬(전쟁없는세상 피망팀) 전쟁없는세상 주: 이 글은 외국 커뮤니티에 올라온 보드게임 <디스 워 오브 마인 This War of Mine: The Board Game>의 후기를 번역한 것이다. 이 게임의 원작은 내전 중인 도시에서 [...]
야센코 파쉬츠 Jasenko Pašić(배우, 보스니아 내전 생존자) 번역: 쥬(전쟁없는세상 피망팀) 전쟁없는세상 주: 이 글은 외국 커뮤니티에 올라온 보드게임 <디스 워 오브 마인 This War of Mine: The Board Game>의 후기를 번역한 것이다. 이 게임의 원작은 내전 중인 도시에서 [...]
오리 (두레방/전쟁없는세상 활동가, jungmin.duck@gmail.com) 오키나와에 처음 가본 것은 2000년이었다. 나는 사회운동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새내기 활동가였고 평소 관심 있던 의제를 중심으로 이곳저곳을 기웃거리고 있었는데 마침 두레방, 새움터,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언니들이 권유를 해서 <군사주의에 반대하는 국제여성평화네트워크> 회의에 참가하게 [...]
2년만에 돌아온 평화캠프! 작년 박근혜를 물러나게 했던 촛불 집회 이후 비폭력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트레이닝을 받고 싶다는 요청이 전쟁없는세상으로 쇄도(?)했습니다. 그래서 2년만에 다시 돌아온 '평화캠프: 초심자를 위한 비폭력 트레이닝' 참가 신청을 받습니다. 2017년 평화캠프는 '나중에' 시대에 '지금 당장' [...]
새라(팔레스타인평화연대) 점령에 자긍심은 없다 There’s no pride in occupation ‘중동의 퀴어 수도’라 불리는 이스라엘의 최대도시 텔아비브(Tel-Aviv). 매년 열리는 ‘프라이드’를 비롯해 클럽과 해변을 가득 메운 게이들의 모습을 앞세우며 이스라엘은 스스로를 ‘중동에서 유일한 게이 친화적인 나라’로 추켜세운다. 텔아비브 프라이드는 올해 [...]
송영무 국방부 장관 임명, 국방개혁은 방산비리 척결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2017년 7월 13일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임명되었습니다. 오늘 취임식에서 신임 장관은 ‘방위산업 육성’을 포함한 국방개혁 주요과제 여섯 가지를 발표했습니다. ‘2017 아덱스 저항행동’은 송영무 장관에게 국방개혁에 있어 무기거래의 투명성을 [...]
10-10 전략 시간: 30분 이상 목표: 비폭력 캠페인의 풍부한 사례를 배우고, 캠페인/운동/전술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진행 방법: 참가자들이 대여섯 명씩 조를 짓도록 한다. 조별로 한 사람이 종이에 1부터 10까지 숫자를 쓰도록 한다. 참가자들에게 (우리가 보통 하는 ‘협력’ 활동과는 반대로) 어느 [...]
유토피아 상상하기 목적: 대안적 삶을 살아가는 공동체의 모습을 상상해보고, 이 유토피아의 어떤 부분이 마음에 드는지 생각해본다. 시간: 약 1시간 15분 (참가자 수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준비: 전지, 펜, 접착제 진행자 노트: 이 활동은 건설적 대안 만들기 트레이닝의 마지막에 [...]
6월 수입 계좌이체 ₩180,000 CMS ₩2,925,720 기타 블로그 원고료, 티셔츠,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 저항하는 평화, 머그컵, 은행이자 ₩329,625 합계 ₩3,435,345 6월 지출 사업비 1 트레이닝 식비 ₩37,500 홍보 이미지 구입 ₩9,900 2 원고료 정욜 ₩30,000 9 보고서 발송 ₩2,170 [...]
대체복무제 도입에 대한 시민사회 의견서 국정자문위 제출 기자회견 양심적 병역거부자 대체복무제 도입, 문재인 정부의 우선 인권과제가 되어야 합니다 기자회견 순서 사회 : 이용석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발언1 : 대체복무제 도입의 필요성 - 하급심 무죄 판결 등 최근 흐름을 중심으로 (민변 김수정 [...]
합리적 대체복무제 도입을 위한 시민사회의 제안 2017. 7. 7.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전쟁없는세상, 참여연대 1. 제안배경 문재인 대통령은 19대 대선 후보 시절 국제앰네스티가 제시한 8대 인권의제에 대한 답변서에서 “양심의 자유는 헌법상 기본권 중 최상위의 가치를 가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