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보다] 인종차별주의자와 인권운동가가 친구가 될 수 있을까? – 영화 ‘더 베스트 오브 에너미즈’를 보고
soulblue(<슬램덩크를 좋아하세요?> 저자, PD) 글로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까? 그러니까 글에는 누군가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있을까? 무엇인가를 이야기하고 싶어 져서 글을 써 내려가면서도 사실 마음 깊은 곳에는 어떤 불신이 있다. 정말로 글이 그것을 해낼 수 있는 것일까 하는. [...]
soulblue(<슬램덩크를 좋아하세요?> 저자, PD) 글로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까? 그러니까 글에는 누군가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있을까? 무엇인가를 이야기하고 싶어 져서 글을 써 내려가면서도 사실 마음 깊은 곳에는 어떤 불신이 있다. 정말로 글이 그것을 해낼 수 있는 것일까 하는. [...]
신재욱(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다시,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강성현 저, 푸른역사, 2024)는 폭력 이론부터 시작해 제노사이드의 역사, 제노사이드의 정의 및 범위를 둘러싼 논쟁, 제노사이드에 대한 사회학적 재구성, 제노사이드 이론을 적용한 한국전쟁 전후 학살에 관한 실제 사례분석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훌륭한 제노사이드 입문서다. [...]
[안내] 2024년 귀속 연말정산 간소화 및 기부금영수증 발급을 안내드립니다. 우크라이나와 가자에서 지속되고 있는 전쟁과 계엄령 선포와 내란 시도로 얼룩진 2024년 한 해 동안 전쟁없는세상과 함께해 평화의 길을 걸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2024년 연말정산을 위한 기부금영수증 발급을 안내드립니다. 1. [...]
인터뷰어: 열쭝, 인터뷰이: 뭉치 전쟁없는세상은 운영위원회를 두고 단체의 운영과 사업, 활동에 대한 중요한 사항을 의논하고 결정합니다.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은 모두 8명으로 제각각 멋진 매력을 뽐내는 평화활동가들입니다. 세상 어디에서도 빛나는 전쟁없는세상의 평화활동가들을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역시나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을 역임했던 열쭝이 인터뷰어로 [...]
인터뷰어: 열쭝, 인터뷰이: 용석 전쟁없는세상은 운영위원회를 두고 단체의 운영과 사업, 활동에 대한 중요한 사항을 의논하고 결정합니다.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은 모두 8명으로 제각각 멋진 매력을 뽐내는 평화활동가들입니다. 세상 어디에서도 빛나는 전쟁없는세상의 평화활동가들을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역시나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을 역임했던 열쭝이 [...]
인터뷰어: 열쭝, 인터뷰이: 가람 전쟁없는세상은 운영위원회를 두고 단체의 운영과 사업, 활동에 대한 중요한 사항을 의논하고 결정합니다.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은 모두 8명으로 제각각 멋진 매력을 뽐내는 평화활동가들입니다. 세상 어디에서도 빛나는 전쟁없는세상의 평화활동가들을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역시나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을 역임했던 열쭝이 [...]
인터뷰어: 열쭝, 인터뷰이: 안악희 전쟁없는세상은 운영위원회를 두고 단체의 운영과 사업, 활동에 대한 중요한 사항을 의논하고 결정합니다.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은 모두 8명으로 제각각 멋진 매력을 뽐내는 평화활동가들입니다. 세상 어디에서도 빛나는 전쟁없는세상의 평화활동가들을 여러분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역시나 전쟁없는세상 운영위원을 역임했던 열쭝이 [...]
시우(병역거부자, 전 대체복무요원) 2020년 10월 26일, 양심과 신념에 따라 군 복무를 거부한 이들 60여 명이 역사상 처음으로 대체복무요원으로 소집됐습니다. 그 이후로 4년이 지난 현재까지 1500명이 넘는 인원이 3년 동안 교정시설에서 합숙복무를 하고 있습니다. 병역거부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
(English below) 우리는 각자의 양심에 따라 군복무를 거부한 병역거부자로서 이번 계엄사태와 내란 시도를 무거운 마음으로 지켜봤다. 만약 우리가 저 자리에 군인의 신분으로 있었다면 폭력 앞에 과연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었을지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는 밤이었다. 계엄군이 유리창을 깨고 [...]
시우(병역거부자, 전 대체복무요원) 2020년 10월 26일, 양심과 신념에 따라 군 복무를 거부한 이들 60여 명이 역사상 처음으로 대체복무요원으로 소집됐습니다. 그 이후로 4년이 지난 현재까지 1500명이 넘는 인원이 3년 동안 교정시설에서 합숙복무를 하고 있습니다. 병역거부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