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탄금지연합 소식] 시리아, 확산탄 사용 사실 확인돼
(2012년 10월 14일 / 런던) 확산탄금지연합 회원단체인 휴먼라이츠와치 등이 최근 시리아 군이 광범위하게 확산탄을 사용하고 있다는 증거를 공개함에 따라, 확산탄금지연합은 시리아 정부에 금지된 무기인 확산탄의 사용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여타 국가들에게는 시리아 민중에 대한 이러한 폭력행위를 공개적으로 규탄하라고 압력을 [...]
(2012년 10월 14일 / 런던) 확산탄금지연합 회원단체인 휴먼라이츠와치 등이 최근 시리아 군이 광범위하게 확산탄을 사용하고 있다는 증거를 공개함에 따라, 확산탄금지연합은 시리아 정부에 금지된 무기인 확산탄의 사용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여타 국가들에게는 시리아 민중에 대한 이러한 폭력행위를 공개적으로 규탄하라고 압력을 [...]
(2012년 10월 10일) 호주가 10월 8일, 확산탄금지협약 비준서를 기탁하면서 협약의 77번째 당사국이 되었다. 호주는 협약에 규정된 기탁 후 대기기간을 거쳐 2013년 4월 1일 공식적으로 당사국이 된다. 확산탄금지연합은 호주가 새로운 당사국이 된 것을 환영했지만 호주 정부가 최근 통과시킨 협약 이행에 [...]
페루가 확산탄금지협약을 비준해 협약의 76번째 당사국이 되었다. 라파엘 론카글리올로 오르베고소 페루 외교부 장관은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연례 유엔 조약 행사에서 비준서를 기탁했다. 확산탄금지연합의 회원단체인 ISDH(Instituto de seguridad y derechos humanos)의 아나 마리아 왓슨 사무국장은 이 같은 소식에 대해 "오늘은 [...]
(노르웨이 오슬로, 2012년 9월 15일) 확산탄금지협약의 3차당사국 회의가 더 많은 국가들이 곧 협약에 참여할 예정이라는 소식과 함께 마무리되었다. 2008년 협약에 서명하지 않았던 국가들 중 31개국이 이번 당사국회의에 참가했으며, 이중 십 수 개국 이상이 확산탄금지협약의 목적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표명하고 협약 [...]
(런던, 2012년 9월 6일) 오늘 런던에서 발표된 보고서, 『2012 확산탄모니터』에 따르면 2008년 확산탄금지협약에 가입한 정부들은 지금까지 75만개의 확산탄과 여기에 포함된 8천 5백만개의 소폭탄을 폐기했다. 『2012 확산탄모니터』의 최종편집인인 휴먼라이츠와치의 메리 와레함은 "협약에 따라 엄청난 양의 확산탄이 폐기되고 있는 현 상황은 헌신된 [...]
<차기 전투기 도입사업 제안서 접수 마감에 즈음한 기자회견> 시뮬레이터 평가 방식 폐기하고 차기전투기사업(F-X) 전면 재검토하라! F-X 사업 참여업체들의 제안서 접수가 오늘 마감된다. 이와 관련 방위사업청은 13일, “F-X사업은 완제품으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2016년 납품 때까지의 개발을 고려하여 F-15SE, F-35, 유로파이터 타이푼 [...]
오늘 우리는 두 번째로 맞는 세계군축행동의 날을 맞아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전세계적인 경제위기로 긴축재정에 나서고 있는 각국 정부들이 국방비 지출은 여전히 늘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스톡홀롬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발표할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전세계 군사비는 1.7조 달러에 이르고 있습니다. 2011년 전세계 최대 [...]
2012년 3월 21일 총선에 즈음한 대체복무제 도입촉구 기자회견 1. 평화의 인사를 드립니다. 2. 지난 60년 동안 자신의 양심상 군인이 될 수 없다는 병역거부자들이 꾸준히 존재해 왔으나 한국 정부는 남북분단, 국가안보를 이유로 매년 수백 명의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들을 감옥으로 보내고 [...]
헌법재판소인가 안보재판소인가 - 인권을 저버린 병역거부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규탄한다 2011년 8월 30일 헌법재판소는 병역법 제88조 제1항 제1호와 향토예비군설치법 제15조 제8항 대해 7대 2로 합헌 결정을 내렸다. 2004년 결정이후 7년 만의 결정이다. 병역거부자의 인권을 지켜달라는 7년 동안의 외침은 결국 [...]
병역거부자들, 국회에 소송을 제기하다 유엔에서도 권리구제를 권고했지만, 대한민국은 묵묵부답 - 대체복무제 입법부작위 위헌확인 소송 제기 기자회견 1. 평화의 인사를 드립니다. 2.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 실현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위한 연대회의’는 2002년 2월 소수자 인권문제로 부각되고 있던 병역거부자들의 인권신장과 대체복무제도 개선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