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의 감옥
송상윤(병역거부자, 평화수감자) 전쟁없는세상 주: 코로나19로 온 나라가, 전 지구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우리의 삶과 사회 자체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가 다를 수밖에 없고 달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한편 모든 재난이 그렇듯 코로나19 역시 우리 사회에서 더 [...]
송상윤(병역거부자, 평화수감자) 전쟁없는세상 주: 코로나19로 온 나라가, 전 지구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우리의 삶과 사회 자체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가 다를 수밖에 없고 달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한편 모든 재난이 그렇듯 코로나19 역시 우리 사회에서 더 [...]
임윤경 (평택평화센터 사무국장) 화창한 봄날, 시민들이 한창 소풍을 즐기고 있는 한강둔치에 일찍이 본 적이 없는 기상천외의 괴물이 출현한다. 공룡 같은 몸집에 무서운 속도, 무지막지한 괴력을 행사하는 난폭한 ‘괴생물체’. 2006년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의 한 장면이다. ‘괴물’ 영화의 첫 시퀀스는 [...]
안악희(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 징병제폐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베이시스트) 전쟁없는세상 주: 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이자 베이시스트인 안악희 님이 세 차례에 걸쳐서 반전과 평화를 노래한 음악들을 소개합니다. 앞으로 일주일에 한 편씩 모두 3주에 걸쳐 연재됩니다. 첫번째로 1960년대 이전 음악 중에서 세 곡을 뽑았습니다. 메인 [...]
전쟁없는세상의 블로그에서는 활동가, 연구자, 예술가 등 여러 현장과 분야에서 분투하는 사람들이 반군사주의 평화운동의 다양한 경험과 고민을 나눠왔는데요. 올해에도 전쟁없는세상 블로그의 고정 필진이 한 달에 한 번씩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2020년에는 아래 다섯 분을 모시고 군사주의, 페미니즘, 영화, 기후위기, 퀴어, 교육, 그리고 미군기지에 [...]
심아정(독립연구활동가) 전쟁없는세상 주: 창작과 비평 2020년 봄호(통권187호)에 수록된 글을 저자가 수정/보완한 것입니다. 낯선 서사의 장소, 푸순전범관리소 이 책의 저자 김효순은 학문의 장에서조차 제대로 조명되어오지 못했던 사건들을 천착해 한 사람 한 사람의 역사에 귀 기울이는 작업을 해왔다. [...]
최민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 전쟁없는세상 후원회원) 전쟁을 겪어보지 않았지만, 지금 상황이 ‘전쟁통’, ‘난리통’과 유사성이 있으리라는 생각은 다들 직관적으로 느끼고 계실 것 같습니다. 저는 의사이긴 하지만, 병원 같은 보건의료현장을 떠난 지 오래 됐기 때문에, 지금의 상황을 느끼고 바라보는 것은 의료인이라기보다 [...]
은영(디엑스이코리아 활동가) 두 번째 트레이닝에는 더 많은 활동가들이 모였다. 첫 번째 트레이닝은 동물해방을 위한 직접행동을 해보자는 같은 의지를 가진 여섯 사람이 모여 시작되었습니다. 비폭력 직접행동에 대한 어림짐작 정도로 시작한 활동에서 전쟁 없는 세상의 비폭력 트레이닝은 비폭력 직접행동의 뿌리 깊은 [...]
신재욱(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활동가) 필자 주: 인용한 영화의 문구가 실제 영화의 문구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전쟁기억과 기억전쟁 "한국 정부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쟁기억에는 위계가 있다. 어느 나라든 역사를 교육할 때 그 나라가 겪은 전쟁의 [...]
2월 수입 후원금 정기후원금 ₩3,983,000 비정기후원금 ₩20,000 사업수입 강사료 ₩25,000 합계 ₩4,028,000 2월 지출 사업비 사업행사비 ₩187,370 우편발송비 ₩830 지급수수료 ₩30,000 지급임차료 ₩100,000 통신비 ₩184,809 홍보제작비 ₩61,732 운영비 4대보험비 [...]
2019년 12월 21일 연세대에서 열린 난민x현장 티치인에서 발표한 '전쟁 만드는 나라의 시민으로 살겠습니까'의 발표문을 수정 보완한 글입니다. 주요 내용 > 예멘 난민과 예멘에서 발견된 한국산 무기들 >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한국산 무기 > 2001년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으로 발생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