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으로 세계를 기후위기에서 구하라 2 – 보드게임 〈데이브레이크〉
쥬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이전에 소개한 〈CO2〉가 기후위기 대응의 한 측면(친환경 발전)을 다룬 게임이었다면 〈데이브레이크〉는 본격 기후위기 대응 게임이라고 할 만하다. 개발자는 〈팬데믹〉 시리즈로 유명한 게임 디자이너 매트 리콕과 게임 디자이너이자 교육자인 마티오 메니페이스이다. 〈데이브레이크〉는 완전 협력 게임으로, 게임의 목표는 [...]
쥬 (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이전에 소개한 〈CO2〉가 기후위기 대응의 한 측면(친환경 발전)을 다룬 게임이었다면 〈데이브레이크〉는 본격 기후위기 대응 게임이라고 할 만하다. 개발자는 〈팬데믹〉 시리즈로 유명한 게임 디자이너 매트 리콕과 게임 디자이너이자 교육자인 마티오 메니페이스이다. 〈데이브레이크〉는 완전 협력 게임으로, 게임의 목표는 [...]
취지와 목적 2024년 새해에도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을 향한 무차별적 공격이 끝나지 않고 있습니다. 3달이 넘었습니다. 가자 지구 사망자 숫자는 2만 3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약 230만 가자 지구 인구의 1%가 사망했고 85% 이상이 집을 잃고 난민이 되었으나 봉쇄된 가자 지구 어디도 갈 [...]
2021년에 쓰인 글이지만, 최근 격화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가자지구 전쟁, 그에 따른 각국의 군비 증강으로 군사 부문의 탄소 배출이 감소는커녕 오히려 증가하리라 예상되는 상황에서 여전히 적실하다고 판단하여 간추려 옮겼습니다. 저자: 웬델라 드 브리스(Wendela de Vries) 원문: “Locked-in Emissions: The Climate [...]
한국 정부는 이스라엘 무기 수출 중단하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무차별적인 공격이 3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2만 1천명이 사망했고, 가자 지구는 참혹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이스라엘의 무장을 돕고 있습니다. 2014~2022년, 한국은 이스라엘에 약 4,390만 달러(약 570억 원)의 무기(탄약, [...]
전쟁없는세상이 평화단체들과 함께하는 캠페인 ‘아덱스저항행동’이 제9회 성유보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 성유보특별상은 언론민주화운동과 평화통일운동에 헌신하셨던 故 성유보 선생님의 뜻을 기리는 상입니다. 성유보특별상 선정위원회는 심사평에서 “군축의 위한 반전행동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더 많은 단체가 저항행동에 함께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10년 동안 이어온 그들의 평화 메시지에 [...]
혜성 (DX 8 재판 피고인) 작년에는 다른 해들보다 여러 전쟁들과 무기 수출에 대한 소식들을 많이 접했던 것 같다. 물론 매해 많았겠지만 내가 관심을 조금 더 기울였기에 더 많이 보이지 않았나 싶다. 그런 소식이 오가는 매체에서 사람들은 전쟁 피해자들의 모습을 [...]
신재욱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서울 국제 항공우주・방위산업 전시회 ADEX⟩(이하 아덱스)의 마지막 순서는 무기거래 관계자가 아닌 일반 사람들도 관람이 가능한 퍼블릭 데이(Public Day)다. 이미 대대적으로 홍보됐던 것처럼, 올해는 정말 역대 가장 많은 관람객이 아덱스를 찾았다. 아덱스저항행동과 연대자들은 아덱스를 찾아온 사람들에게 무기거래의 실상을 [...]
뭉치 (피스모모) 지난 9월 23일, 서울 한복판에 기후정의를 외치며 거리로 나선 3만 시민들의 행렬이 펼쳐졌다. 그 행렬에 합류해 발을 맞춰 걷고, 구호를 외치면서도 마음 한 켠에선 의심이 일었다. 빠르게 망가지고 있는 기후 속에서 정말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솔직히 말하자면, [...]
영철 (피스모모) 무기거래는 금지되어야 한다? 워크숍에서 서로 다른 생각의 스펙트럼을 펼치는 방식의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피스모모 올해, 고등학교 학생들과 ‘무기를 팔아서 돈을 버는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를 주제로 몇 차례 토론을 진행했다. 흔히 떠올리는 찬반토론의 형태는 아니다. 모든 [...]
권현우 (한베평화재단) 전쟁 특수가 부끄럽지 않은 나라, 60년 전부터 그랬다 “베트남 참전용사의 헌신과 희생을 바탕으로 조국 경제가 살아났습니다.” - 2017년 현충일 문재인 대통령 추념사에서 올해 1월, 베트남 국영방송 브이티브이(VTV)에서는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문제적 발언이 다시금 전파를 탔다. 베트남전 민간인학살 피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