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후기] 덕분에 내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었어 -2025 병역거부의 날, 대체복무 토크쇼
정이어린(청년기후긴급행동 활동가) 병역거부를 고민하기 시작했던 건 한국의 병역거부 운동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총을 들지 않는 사람들-금기에 도전(김환태 감독)>을 본 후부터였다. “나도 저들처럼 군대에 가지 않을 수 있을까?” 그렇게 나는 처음 만나게 된 병역거부자들 앞에서 묘한 긴장감을 느꼈다. 처음으로 [...]
정이어린(청년기후긴급행동 활동가) 병역거부를 고민하기 시작했던 건 한국의 병역거부 운동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총을 들지 않는 사람들-금기에 도전(김환태 감독)>을 본 후부터였다. “나도 저들처럼 군대에 가지 않을 수 있을까?” 그렇게 나는 처음 만나게 된 병역거부자들 앞에서 묘한 긴장감을 느꼈다. 처음으로 [...]
신재욱(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지역의 ‘지역’ 책의 부제는 ‘길에서 수집한 광주의 이미지들’. 서평을 쓰기로 한 때는 마침 오월. 책의 제목처럼, 이 책은 저자가 광주에서 길어 올린 여러 이미지 비평이다. 저자는 스스로를 ‘광주’라는 ‘지역’에 사는 여성 연구/비평가로서 정체화한다. 광주라고 했을 때 예상되는 이미지는 [...]
5월 28일부터 3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해양무기산업박람회 MADEX가 열립니다. 일본의 평화활동가 스기하라 코지님이 마덱스에 저항하는 한국의 평화활동가들에게 연대의 편지를 보내줬고, 이에 대해 전쟁없는세상의 최정민(오리) 활동가가 답장을 썼습니다. 이 글은 오마이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학살에 가담하고 전시 태세에 들어간 일본―무기 수출과 [...]
박석분(부산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운영위원) 저자 주: 이 글은 부산경남지역 무기산업 문제의 근본 원인과 과제 이 발표는 부산평통사 마창진 모임은 2024년 5월 11일과 6월 26일 두 차례에 걸쳐 창원지역 군수산업의 현황과 과제를 짚어보는 오픈세미나 내용을 보완한 것으로 오마이뉴스에도 실렸습니다. 국제인도법과 무기 [...]
오리(전쟁없는세상 '기후위기와 군사주의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이 글은 녹색전환연구소에서 4월 30일에 진행한 '월간 녹색전환' 행사에서 발표한 발표문입니다. 당시에는 아직 각 당의 대통령 후보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였습니다. 이제 대통령 선거가 20일 안쪽으로 남은 시기인 만큼 기후위기 극복, 특히 그중에서도 기후위기를 가속시키는 [...]
류소연(연극창작자) 스스로 행성의 ‘잔류 인구’가 된 여성 노인 오필리아. 평생 동안 남편과 자식들을 돌봐오고, 가족과 공동체와 ‘컴퍼니’를 위해 일해 온 그는 ‘전문 교육’을 받지 못한, 이제는 ‘생산성’에서조차 멀어진 여성 노인이다. 그가 사는 곳은 한 행성의 ‘콜로니’. 콜로니는 거대자본들 중 [...]
네티윗은 태국 병역거부자입니다. 고등학생이었던 2014년, 군부의 쿠데타를 비판하며 앞으로 병역거부를 할 것이라고 선언했고 2025년 현재 병역거부로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재판 결과에 따라 네티윗은 감옥에 수감될 수도 있으며, 태국 최초의 병역거부자인 만큼 재판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알 수 없습니다. 지난 [...]
수 신 : 언론사 발 신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국제연대위원회, 전쟁없는세상, 천주교인권위원회 제 목 : [공동 논평] 모든 수형자에게 선거권을 보장하라 - 유엔 자유권위원회의 개인진정 인용 결정에 대한 입장 발 신 일 : 2025년 4월 16일(수) 문 의 [...]
이지원(참여연대 시민참여팀 활동가) 식물을 기르고 있다 사무실 인근으로 찾아온 친구가 나에게 식물을 선물했다. 키우기 쉽다는 스킨답서스도 말려버린 나인데. 그런 나에게 식물을 선물한, 지금 생각해 보면 참 용감한 친구는 나에게 “식물을 책상에 두고 일해봐, 기분 전환이 필요할 때마다 분무기로 [...]
수 신 각 언론사 정치부·사회부 발 신 전쟁없는세상 (담당: 쥬 활동가 02-6401-0514, peace@withoutwar.org) 제 목 [보도협조요청] 무기박람회 DX KOREA 2022 저항행동 대법원 선고에 대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 날 짜 2025. 4. 15 (총 7쪽) 보 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