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없는세상 20주년 아카이브 전시 ‘추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온라인 전시 오픈
전쟁없는세상 20주년 아카이브 전시 '추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온라인으로 돌아왔습니다. 지난 6월 탈영역우정국에서 일주일 동안 진행했던 아카이브 전시를 온라인으로 옮겨왔습니다. 전시에서 가장 핵심적이었던 연표와 아카이빙 테이블을 중심으로 온라인 페이지를 구성했고요, 김경묵 작가의 VR 작품과 오로민경 [...]
전쟁없는세상 20주년 아카이브 전시 '추신,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온라인으로 돌아왔습니다. 지난 6월 탈영역우정국에서 일주일 동안 진행했던 아카이브 전시를 온라인으로 옮겨왔습니다. 전시에서 가장 핵심적이었던 연표와 아카이빙 테이블을 중심으로 온라인 페이지를 구성했고요, 김경묵 작가의 VR 작품과 오로민경 [...]
'무죄 축하 파티-탱크 위의 사람들' 참가 신청하기 (클릭) 2022년 무기박람회 DX KOREA 저항 평화행동으로 재판을 받은 평화활동가 8명이 1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았습니다. 이 무죄 판결은 평화적 시위의 권리와 표현의 자유가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무기박람회와 무기거래를 비판하는 것은 [...]
누리(기후위기 앞에 선 창작자들) 여름이 길었습니다. 계절별로 입는 옷들을 따로 꺼내두던 옷장에는 아직도 반소매와 긴소매, 얇고 두꺼운 외투가 어지럽게 섞여 있습니다. 그 옷장 안의 모습도 갑갑하지만, 옷장 밖 계절은 더 혼란스럽습니다. 11월 초까지도 가을보다 여름이라고 불러야 할 것 [...]
조경숙(만화평론가) 한 아파트가 있다. 넥타이를 반듯하게 맨 남자, 울면서 엄마를 찾아 나오는 소녀, 십자가 목걸이를 건 아줌마, 단결 투쟁 조끼를 입은 아저씨 등 당최 접점이라곤 없어 보이는 사람들이 여기에 산다. 그런데 이곳 황금동 아파트 주민들에게는 기묘한 공통점이 하나 [...]
(English below) 오늘(2023년 11월 8일)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은 무기박람회 DX KOREA 전시 업무를 방해한 혐의로 기소된 8명의 평화활동가에게 전원 무죄를 선고했다. 평화활동가 김은미(쭈야), 김한민영(뭉치), 박재윤, 여지우(쥬), 이용석, 주영호(펭귄), 지혜성, 최정민(오리)은 2022년 9월 22일 전쟁 무기가 전시되고 거래되는 DX KOREA 2022 전시장에서 [...]
유엔 자유권위원회는 지난 10월 19일~10월 20일 대한민국 제5차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국가보고서에 대한 심의를 거쳐 11월 3일 최종결정을 발표했다. 최종결정에는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독립적 조사기구 설립 권고, 집회시위의 권리 보장,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등의 내용이 담겼고 양심적 [...]
서하(대체복무 중인 병역거부자) 〈대체복무 표류기〉는 현재 대체복무 중인 병역거부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담은 연재 기획입니다. 11월 초까지 매주 2편씩 전쟁없는세상 블로그에 올라올 예정입니다. 인터뷰, 제도, 생활, 업무, 신념, 관계를 키워드로 하는 일곱 편의 글을 통해 대체복무의 현실을 들여다봅니다. [...]
김자유(병역거부자, 누구나 데이터 대표) 전쟁없는세상 주: 김자유님은 병역거부를 하고 11월 1일 대체복무 교육센터에 입소해 3년 동안 대체복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자유님이 교육센터에 입교하기 전에 전쟁없는세상으로 소견서를 보내주어 여러분과 함께 나눕니다. 김자유님이 왜 병역거부를 도전하게 되었는지, 영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대학거부에 이어 군대거부에 [...]
혜린(동물권 활동가)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동물+전쟁으로 원고 요청을 받았으나, 이후 개인적 상황의 변화로 인해 동물과 전쟁의 직접적 연관성이 있는 글을 쓰지 못하게 된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현재 출가자의 신분이므로 종교적(불교) 관점이 일부 포함되어 있음을 미리 말씀 드립니다. 편지처럼 [...]
재이(대체복무 중인 병역거부자) 〈대체복무 표류기〉는 현재 대체복무 중인 병역거부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담은 연재 기획입니다. 11월 초까지 매주 2편씩 전쟁없는세상 블로그에 올라올 예정입니다. 인터뷰, 제도, 생활, 업무, 신념, 관계를 키워드로 하는 일곱 편의 글을 통해 대체복무의 현실을 들여다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