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공’과 ‘군대 안 간 사람은 자격 없다’는 인식은 같은 안보관을 공유한다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의 '멸공' 발언은 단순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는 일이었다. 유난히 관심받기를 즐기는 한 사람이 내던진 20세기 유물 같은 시대착오적 표현에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와 김진태·나경원 전 의원의 이른바 '멸콩' 챌린지가 더해지면서 정치적인 논란이 일었다. [...]
이용석(전쟁없는세상 활동가)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의 '멸공' 발언은 단순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는 일이었다. 유난히 관심받기를 즐기는 한 사람이 내던진 20세기 유물 같은 시대착오적 표현에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와 김진태·나경원 전 의원의 이른바 '멸콩' 챌린지가 더해지면서 정치적인 논란이 일었다. [...]
홍정훈(병역거부자, 서울구치소 수감중) 제목에 언급된 '고동에 대한 답장'은 병역거부자 고동주가 홍정훈 오경택 두 평화수감자에게 쓴 공개 서신에 대한 답장을 의미합니다. 변하는 건 날씨 밖에 없는 세계에서 2021년을 닫게 생겼습니다. 부정적인 말로 시작하지 않으려 다짐했는데 악몽의 크리스마스를 [...]
김선우(서늘해), 북토크 참가자 우연히 『병역거부의 질문들』과 『남성성의 각본들』 북토크를 한다고 듣고 홀린듯 신청했다. 세미나에서 『남성성의 각본들』을 읽고 있어서 반가웠다. 책을 다 읽지 못해서 이야기를 따라가지 못할까 봐 걱정하면서도 저자의 이야기를 직접 듣고 싶다는 마음이 강했다. 북토크의 구성과 [...]
우공(전쟁없는세상 병역거부팀 활동가) 희망. 코로나19를 겪고 부정의하고 불평등한 사건들이 넘치는 뉴스에서 이 단어만큼 힘을 잃어버린 것이 또 있을까 싶다. 조금 과민한지도 모르겠지만 절망과 종말이 더 많이 말해지고 익숙해진 것은 아닌가 싶을 때도 종종 있다. 그래서 몰리 스튜어트(Molly Stuart)의 다큐영화 [...]
수신 각 언론사 정치부, 사회부 발신 전쟁없는세상(담당: 이용석 02-6401-0514, peace@withoutwar.org) 날짜 2021-12-14 제목 병역거부 교육 영상 ‘양심적 병역거부 핵심 톡톡’ 공개 전쟁없는세상은 2021년 12월 13일 ‘양심적 병역거부 핵심 톡톡’ 영상 1편을 전쟁없는세상 유튜브 채널에 공개했다. 대체복무제도를 논의할 당시 [...]
최의건(브루더호프 노비스) 12월 1일. 평화수감자의 날이다. 8시 20분 기차를 타고 서울로 간다. 평화수감자의 날은 병역을 거부하고 감옥에 가신 분들을 기억하는 날이다. 감옥 밖에서 그분들을 응원하는 날이다. 2003년부터 매년 하고 있다. 엽서도 쓰고 다양한 걸 한다. 하얀 김을 뿜으며 [...]
강인화(서울대학교 국사학과 BK조교수) 이 글은 <사회와 역사> 제131집(2021년)에 게재된 저자의 논문 “병역을 통한 시민자격의 형성: 1960년대 병역미필자 축출과 구제”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인용 및 자료의 출처 등은 해당 논문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960년 4·19혁명을 전후로 제기된 ‘아래로부터’의 병역미필자 축출 [...]
우리는 과연 양심을 판단할 수 있을까? 이 용 석 들어가며 2006년 8월 17일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피고인을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는 판사의 말을 나는 피고인석에서 들었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판사가 뭐라고 말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내가 실형 1년 6개월 선고 받았으니 판사가 저렇게 [...]
고동주(병역거부자)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용석 씨가 병역거부 수감자들에게 공개 편지를 써보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했습니다. 회사 생활에만 몰두하게 되면서 저의 머릿속에 병역거부자들에 대한 생각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고, 저의 관심사는 거의 노후나 돈 생각으로 쪼그라들어 있던 터라 편지를 쓰겠다는 대답을 [...]
매년 12월 1일은 ‘평화수감자의 날’로 평화를 위한 직접행동을 하다가 감옥에 갇힌 평화수감자들을 기억하는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2003년 ‘총을 내리자’ 문화제를 시작으로 해마다 평화수감자의 날 행사에 모여 평화수감자들에게 엽서를 보내고 있습니다. 주로 병역거부자들, 평택 대추리 미군기지 확장이전 반대,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